earticle

논문검색

특집 발표 : 가톨릭 사상의 원천에 대한 다양한 모색

칸트철학과 초월적 토미즘 - 롯츠(Johannes Baptist Lotz SJ)의 이론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Kantian Philosophy and Transcendental Thomism - Centering on the Theory of J. B. Lotz SJ -

김석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antian Philosophy and Transcendental Thomism -Centering on the Theory of J. B. Lotz SJ- Kim, Suk-Soo (Kyungpook National Univ.) Kant and Lotz attempt to overcome the problem of traditional metaphysics. I am going to compare and evaluate their theories in terms of being and subject, Apriorität and transcendence, and theory and practice. They all positively accept the active working of the modern subject. But they set up differently the relation between being and subject. Kant kept the active working of modern subject tied in space and time from the unhistorical constituent viewpoint, and then tried to approach ‘being itself’ not theoretically but practically. Lotz, on the other hand, accepted Maréchal's ‘dynamisme intellectuel’ and assigned both constituent and abstractive working to the knowing subject, and then tried to make this subject approach being itself rationally beyond space and time. By doing this, Lotz tried to overcome a mismatch between understanding and reason, theoretical reason and practical reason. So as to do this work successfully, he is analysing the process shifting from ‘eidetische Erfahrung’ to ‘ontologische Ferfahrung’, from ‘ontologische Erfahrung’ to ‘metaphysische Erfahrung’, and from ‘metaphysische Erfahrung’ to ‘religiöse Erfahrung’. He especially makes efforts to show us that we can overcome Kant’s problem with analysing ‘meditation’. I will suggest that Lotz’s position can be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violence of modern subject, and to harmonize the traditional ‘being’ and modern subject.

한국어

이 글은 전통형이상학의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는 칸트와 롯츠의 이론을 존재와 주체, 선험성과 초월, 이론과 실천의 관점에서 비교 평가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근대적 주체의 능동적 활동을 긍정적으로 수용하지만, 존재와 주체 사이의 관계 설정의 차이로 서로 입장이 갈라지게 된다. 칸트는 주체의 능동적 활동을 구성적 관점에서 시ㆍ공간 내에 탈역사적으로 묶어 둠으로써 존재 자체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반대하고 실천적으로 다가가려고 한다. 반면에 롯츠는 마레샬의 ‘지성의 역동성’을 수용하여 인식주체에 추상적 활동과 구성적 활동 모두를 허용함으로써 인식주체가 시ㆍ공간을 넘어 존재 자체에 합리적으로 접근하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롯츠는 칸트철학 안에 남아있는 지성과 이성의 분열, 이론이성과 실천이성의 분열을 극복하려고 한다. 그는 이 작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형상적 경험으로부터 존재론적 경험, 형이상학적 경험, 종교적 경험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자세히 분석하고 있다. 특히, 그는 ‘명상’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칸트가 남겨 놓은 분열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음을 보여주려고 한다. 이 글은 롯츠의 이와 같은 입장이 근대적 주체의 폭력을 극복하면서도 동시에 전통적 존재와 조화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해보려고 한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존재와 주체
 3. 형상적 경험과 존재론적 경험
 4. 이론과 실천, 그리고 명상
 5. 나가는 말
 참고 문헌
 국문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석수 Kim, Suk-Soo. 경북대학교 철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