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Middle and Elderly Woman's Skin Care on Happiness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effect of skin care for middle and elderly women in their sense of happiness, so that it could help respond proactively to ever-increasing demands of middle and elderly women for beauty care and also develop possible ways of silver industry in the aspect of their welfare of beauty care. In order to meet these goals, this study surveyed total 584 middle and elderly women(at age 50 or older; residing in Seoul metropolitan city, Gyeonggi province and Daejeon metropolitan city) who had ever been treated with skin care services. First, the effect of middle and elderly women's skin care on the self-efficacy, self-esteem, and happiness showed that the skin car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elf-efficacy, self-esteem, and happiness and if the satisfaction through the skin care rises, the self-efficacy, self-esteem, and happiness are on the increase. Second, the effect of middle and elderly women's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n the happiness showed that the self-efficacy and self-esteem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happiness and if the satisfaction through the self-efficacy and self-esteem rises the happiness is on the increase. Third, an analysis of a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 between middle and elderly women's skin care and the happiness showed that an independent variable, skin care and a parameter self-esteem all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the three-stage, and a regression coefficient of parameter is sharply bigger than that of independent variable, which the self-esteem plays a mediating role.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demonstrate and conclude that our middle and elderly women tend to feel confidence in their own choice and action owing to better sense of satisfaction with skin care, and such a confidence leads to improvement in their sense of self-efficacy and self-esteem, and better sense of happiness as well.
한국어
본 연구는 중․노년여성의 피부관리가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봄으로써 중․노년여성의 미용 수요에 적극 대처하고, 미용복지 차원에서 이들의 실버산업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경기도,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50세 이상 중 피부관리 경험이 있는 여성 58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중․노년여성의 피부미용 관리가 자기효능감과 자기존중감, 그리고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피부미용 관리는 자기효능감과 자기존중감, 그리고 행복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피부미용 관리를 통한 만족감이 높아지면 자기효능감과 자기존중감, 그리고 행복감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노년여성의 자기효능감과 자기존중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자기효능감과 자기존중감은 행복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효능감과 자기존중감이 높아지면 행복감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노년여성의 피부미용 관리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역할을 분석한 결과, 독립변수인 피부미용 관리와 매개변수인 자아존중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매개변수의 회귀계수가 독립변수의 회귀계수보다 현저하게 커 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중․노년여성들은 피부미용 관리를 통한 만족감이 높아지면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행복감이 상승하며,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의 상승은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노년여성들은 피부미용 관리를 통한 만족감이 높아지면, 자신의 선택과 행동에 대해 확신을 주어 자기효능감과 자기존중감의 상승으로 이어지고, 행복감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II.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가설
2. 조사대상 및 방법
3. 측정도구
4. 자료분석방법
III.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변수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3. 가설 검증
I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