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Digital Permanent wave의 Wave 정도에 대한 一般人의 認知

원문정보

Perception of ordinary person about Digital Permanent Wave’s Wave

Digital Permanent wave의 Wave 정도에 대한 일반인의 인지

송유나, 김지은, 강은정, 조지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is a paper about how ordinary people are recognizing the formation degree of the Digital Permanent Waves from the thermal Permanent that is preferred nowadays. First, we set up the waves of the Digital Permanent Wave as a optional formation rate to make ordinary people evaluate the response. Second, we set up formation rates from 10% to 50% and rod sizes from 12mm to 26mm to make ordinary people evaluate the degree of the wave more carefully. W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frequenc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We got the responses from the ordinary people when the rod sizes were 12mm to 16mm. The formation rate from 31% to 50%. was high. And the formation rate from 21% to 30% was low, Also, the formation rate from 1% to 21% was not formed. Also, we got the responses from the ordinary people when the rod sizes were from 18mm to 16mm. The formation rate from 21% to 40% was high, And the formation rate from 11% to 20% was low, Also, the formation rate from 1% to 10% was not formed. Therefore, it can be evaluated that Digital Permanent Wave was formed when the formation rate was over 10% to 20% although there was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od sizes.

한국어

현재 여성들에게 선호되고 있는 열 퍼머넌트 웨이브 중에 디지털 퍼머넌트 웨이브의 형성정도에 대하여 일반인들이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논문이다. 디지털 퍼머넌트 웨이브의 웨이브를 임의 형성률로 설정하여 일반인들의 판단을 묻는 형식으로, 12mm~26mm까지의 로드 사이즈에 10%~50%까지의 형성률을 설정하여 웨이브 정도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빈도 분석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Rod Size가 12mm~16mm 경우에는 31%~50%의 형성률에서 “형성률이 높다”를, 21%~30%의 형성률에서 “형성률이 낮다”를, 1%~21% 형성률에서 “형성되지 않았다” 라는 평가를 하였다. 2. Rod Size가 18mm~16mm의 경우에는 21%~40%의 형성률에서 “형성률이 높다”를, 11%~20%의 형성률에서 “형성률이 낮다”를, 1%~10% 형성률에서 “형성되지 않았다” 라는 평가를 하였다. 따라서 디지털 퍼머넌트 웨이브는 로드 사이즈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최소한 10%~20%를 초과하는 형성률에 대해서 만을 “웨이브가 형성되었다” 라는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시료 모발
  2. 시술 약제
  3. 시술 기기 및 도구
  4. 실험방법
  5. 조사 대상 및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Digital Rod size별 디지털 웨이브의 형성정도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유나 Song, You-Na. 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 김지은 Kim, Ji-Eun. 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 강은정 Kang, Eun-Jung. 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 조지훈 Cho, Ji−Hoon. 광주여자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