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여고생의 신체만족도에 따른 자존감과 우울의 관계 및 인물화의 특성

원문정보

A Characteristic of DAP and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by Body Satisfaction of High School Female Students

김새미나, 박희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tarted with hypothesis of that body satisfaction may significantly influence the adolescents.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at among the adolescents, body satisfaction of female students with more sensitive body has an effect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and to analyze and compare what differences DAP(Draw-A-Person) shows depending on a low and high body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15 students in the 1st grade of B and C woman high school in C city, C province. Body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the basis of data collected from 415 students were investigated. To compare DAP examination, among 415 students, 40 students in the top 10% of body satisfaction and the other 40 students in low rank 10% of body cathexis were selecte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First, according to a result of comparing difference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by body satisfaction, it was shown that a group with a high body satisfaction has a higher self-esteem and lower depression than the group with a low body satisfaction. Hence, body satisfaction meaningfully had an effect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Second, to identify to what extent the body satisfaction has an explanatory power toward depression, divided body satisfaction into body image satisfaction and meaning image satisfaction and carried out regression analysis of depression along with self-esteem. According to a result the explanatory power over depression of body satisfaction with self-esteem was extremely high. Third, analyzed and compared 80 pieces of DAP in upper and lower group by body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in the group with the lower satisfaction, the size of DAP was small, its proper size was not well expressed due to distortion of body parts and figure's movement was also smaller than the group with the higher satisfaction. It may be interpreted that a desire to acquire physical power is expressed to DAP because a low body satisfaction caused a sense of inferiority, instability, depression and a sense of shortage.

한국어

본 연구는 신체만족도가 청소년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아래 시작하였으며 청소년 중에서도 신체에 더 민감한 여고생의 신체만족도가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인물화에서 신체만족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C도 C시의 시내권에 위치한 B여고와 C여고의 1학년 학생 415명의 자료를 토대로 신체만족도, 자존감 및 우울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신체만족도에 따른 인물화검사를 비교하기 위하여 415명 중에서 신체만족도 점수의 상위 10% 인 40명과 하위10%인 40명을 선발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신체만족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높고 우울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신체만족도가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신체만족도가 우울에 어느 정도 설명력을 갖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체만족도를 신체상만족도와 의미상만족도로 구분하여 자아존중감과 함께 우울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과 함께 신체만족도의 우울에 대한 영향력은 매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신체만족도에 따른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의 인물화 80개를 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신체만족도가 낮은 집단에서는 인물화 크기가 작거나 신체 부위의 왜곡으로 인해 적절한 크기로 표현 되지 않았으며, 인물의 움직임 역시 신체만족도가 높은 집단에 비해 적었다. 이는 신체만족도가 낮아 열등감을 느끼고 불안정과 우울, 부족감 등으로 인해 신체적인 힘을 갖고자 하는 욕구가 인물화에서 나타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청소년의 특성
  2. 신체만족도(신체상)
  3. 자아존중감
  4. 우울
  5. 인물화 검사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Ⅳ. 연구결과
  1. 신체만족도에 따른 자존감과 우울
  2. 신체만족도, 자아존중감 및 우울의 관계
  3. 인물화검사의 특성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새미나 Kim, Sae Mi Na.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예술치료학석사.
  • 박희석 Park, Hee-Seok.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예술치료학과 초빙교수, 마음숲심리상담센터 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