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집단미술치료가 모자 보호시설 아동의 불안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Children at an Institute for Female Single Parent Families

김주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effects the group art therapy has on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children at the institute for female single parent families.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the children in the lower grade who abide at S institute for female single parent families in G city. Selected 10 children recommended by the social workers who are working for the institute for female single parent families and placed each of 5 children into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 group.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arried out 60 minutes twice a week, 16 times in total in the experiment group and no program was carried out at all in the control group.
As a tool of this study, for Anxiety Scale, a questionnaire adapted by Choi, Jin Suk and Jo, Soo Cheol from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CMAS) developed by Castenada in 1956 who used it for measuring infants was used. For Self-Esteem Scale, the questionnaire adapted by Yun, Soo Il from Self-Esteem Inventory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that the depression degree has reduced in the experiment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at in all fields subordinate causes of self-esteem are improved meaningfully.
Accordingly, it was found that the group art therapy is likely to reduce depression and to improve self-esteem of the children at the institute for female single parent families.

한국어

본 연구는 모자 보호시설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가 불안 및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G시에 소재한 S모자 보호시설의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이며. 모자보호시설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의 추천을 받아 10명을 선정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 5명씩 배치하여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2회 60분씩 총 16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미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불안척도는 Castenada등(1956)이 소아용 측정도구로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CMAS)을 만든것을 최진숙과 조수철(1990)이 번안하여 만든 검사지를, 자아존중감척도는 Coopersmith(1967)의 자아존중감 검사(SEI: self-esteem inventory)를 토대로 하여 윤수일(1998)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불안점수가 낮아졌으며 자아존중감 하위요인 전부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집단 미술치료가 모자 보호시설 아동의 불안을 감소하고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집단미술치료
  2. 모자 보호시설 아동
  3. 불안
  4. 자아존중감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 절차
  4. 집단미술치료
  5. 자료 처리
 Ⅳ. 연구 결과
  1.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검사
  2. 실험집단 불안 사전ㆍ사후 검사 결과
  3. 실험집단 자아존중감 사전ㆍ사후 검사결과
  4. 통제집단 사전ㆍ사후 검사 결과
 V.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주현 Kim, Joo-Hyean.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예술치료학 석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