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실험고고학을 통해 본 청동기시대 마연토기의 제작복원

원문정보

The production and restoration of Bronze Age polished pottery through experimental archaeology

신경숙, 오민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aims to reproduce the production, formation and firing processes of red and black burnished pottery and pottery with eggplant design, both of which were frequently used as grave goods in the Bronze Age. Attempts were made to reproduce the red surface, black surface, and eggplant design techniques observed on these types of pottery by carrying out experiments in a variety of ways, and by selecting different paints from the various material found around us.
Polished pottery excavated from dolmen burial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form and a total of 35 ceramic vessels - 20 red burnished vessels, 8 black burnished vessels, and 7 eggplant design vessels - were produced during the course of the experiment. Attempts were also made to identify whether differences in the burnished effect were due to differences in the base clay, firing method, or the timing of paint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most reasonable way of undertaking the red burnished technique and black burnished technique was to fire the vessels in the reduced atmosphere of a covered kiln.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black burnished effect may have been due to the mode of firing, rather than black surface treatments. Finally, it was identified that producing designs on the vessel surface after firing, rather than deliberately making them or using organic materials before firing, resulted in examples which were the most similar to the original vessels.

한국어

청동기시대 부장토기로 널리 알려진 적색마연토기(紅陶), 흑색마연토기(黑陶), 채문토기(彩文土器)를 대상으로 실험고고학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제작, 성형, 소성에 이르는 련의 과정을 재현한 것이다.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 안료를 선택하고, 제작된 토기에 여러 지 방법을 적용해 실험을 실시함으로써 기면에 발현된 적색마연기법과 흑색마연기법, 문기법을 복원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고인돌에서 출토된 부장용 마연토기를 분석하여 기형을 분류하고 적색마연 토기 20점, 흑색마연토기 8점, 채문토기 7점 등 총 35점을 제작하였다. 마연기법의 발현이 태토의 차이인지, 소성방법의 차이인지, 또한 안료의 도포시기에 대한 차이인지를 알아 보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하였다.
실험결과 적색마연기법은 소성 전 붉은색안료(산화철, 붉은 황토, 붉은 돌)를 도포하고 덮개형과 같은 환원분위기에서 소성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이며, 흑색마연기법은 기면에 바른 흑색물질보다는 소성방법에 의한 차이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채문기법은 소성 전 의도적으로 무늬를 그리거나 유기물을 이용하는 것 보다는 소성 후 토기 표면에 무늬를 표현하는 것이 본래의 모습에 가깝게 재현됨을 알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마연토기의 종류와 속성
  1. 마연토기의 종류
  2. 마연토기의 속성 분석
  3. 제작실험을 위한 마연토기 선정
 Ⅲ. 마연토기의 제작실험
  1. 재료준비
  2. 성형
  3. 마연(smoothing&burnishing)
  4. 건조
  5. 소성
 Ⅳ. 마연토기 제작실험 결과분석
  1. 소성 후 형태변화
  2. 소성방법에 의한 변화
  3. 안료의 변화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경숙 Kyung-sug Shin. (재)동북아지석묘연구소 문화사업부장
  • 오민미 Min-mi Oh. (재)동북아지석묘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