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Baduk Theme Park in the Honam region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way of developing the Honam region,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of Baduk city in Korea, into a cultural city through a Baduk Theme Park. The major results of it a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situation of Baduk cultural resources in this region shows that it has a great potentiality as a Baduk region in considering Baduk educational institutions, Baduk tournaments, Baduk industry and distinguished personage in this field.
Second, the current cultural industry in the Honam region is that it has failed in preserving, managing and shaping cultural feature image systematically, despite supporting by the regional government, attempting to develop the Baduk cultural city, and possessing many world Baduk figures.
Third, one of the promising ways of exploiting the potential resources of this district is to build the cultural Baduk Theme Park in which various kinds of Baduk content can be attached into a wide variety of forms and spaces to form the theme space.
If this area emerges as the core Baduk industry creating new contents in this era, particularly the foundation of the theme park of a new leisure facility, Honam region can build up a new image, contributing to introducing it to the whole world as well as promoting economic development.
한국어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바둑도시로 대표되고 있는 호남지역을 바둑테마파크를 통해 문화도시로 실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현대바둑의 발상지로 대표되고 있는 호남지역을 바둑문화자원 활용을 통해 문화도시로 실현시킬 수 있는 발전방안을 탐구해보았다.
연구를 통해 분석하여 얻은 결과 중 중요한 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호남지역의 바둑문화자원 현황은 “바둑교육기관, 바둑대회, 바둑문화산업, 바둑인물 등 바둑의 고장으로 불리기에 충분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남지역 바둑문화산업의 문제점은 “자치단체의 지원과 바둑관광도시로의 개발움직임, 세계적인 바둑 인물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체계적으로 보존.관리 및 문화적 특성을 부각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도시로 실현시킬 수 있는 바둑테마파크 조성방안은 “바둑이라는 컨텐츠를 주제로 다양한 형태와 테마공간에 장소성을 부여하여 테마공간을 조성하는 것”이다. 새 시대의 핵심 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는 문화콘텐츠, 특히 새로운 여가시설인 테마파크를 주제에 맞는 공간으로 조성하게 된다면 지역의 이미지 구축과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며 호남지역을 전 세계에 소개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장소마케팅과 테마파크
1. 장소마케팅
2. 장소마케팅과 테마파크
3. 선진사례
Ⅲ. 호남지역의 바둑문화환경 분석
1. 호남지역의 일반현황
2. 호남지역의 바둑문화자원 현황
3. 호남지역의 바둑문화산업 문제점
Ⅳ. 호남지역의 바둑테마파크 조성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