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ㅸ’ 포함 어휘의 형태론적 분석

원문정보

Mophological Analysis of ‘ㅸ’ Words

이동석

국어사학회 국어사연구 제11호 2010.10 pp.221-24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enerally we know that ‘ㅸ’ is a voiced bilabial fricative. But this letter was used only during a little upward of 10 years and was restricted by the phonological distribution; it can appear between voiced and voiced. And it cann’t appear in onset or coda position. So we doubt that ‘ㅸ’ is a voiced bilabial fricative. Until now we have researched into phonetic value of ‘ㅸ’ in respect of phonological study. But it isn’t enough for positive verification. In mophological respec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ㅸ’ isn’t a voiced bilabial fricative. Because the mophological analysis of ‘ㅸ’ words reveals that the majority of them isn’t a single word. For this conclusion I made a thorough investigation into ‘ㅸ’ words being divided into a declinable word, a sub-stantive and an adverb. But I finded a few exceptions, they have a possibility of a compound word. So I feel sure that ‘ㅸ’ isn’t a voiced bilabial fricative. By the new analysis we could make an approach to the real nature of ‘ㅸ’.

한국어

‘ㅸ’은 일반적으로 그 음가를 양순유성마찰음 /𝛽/로 보고 있다. 그러나 사용 시기 및 분포상의 제약을 보면 그 음가를 인정하기 어려운 면이 많다. 기존의 연구들은 ‘ㅸ’의 음가 문제와 관련하여 주로 음운론적인 접근을 시도했지만, 형태론적인 측면에서 음가에 대한 문제를 새롭게 바라볼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ㅸ’을 포함하고 있는 어휘를 용언, 체언, 부사로 나누고 각각의 경우에 해당하는 단어들을 형태론적으로 분석한 결과, 몇몇 경우를 빼고는 대부분 형태소 결합 환경에서 ‘ㅸ’이 출현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확실하게 분석이 되지 않는 몇몇 예들도 어원적인 접근 방법을 적용할 때 단일어가 아닌 것으로 추정되므로, ‘ㅸ’에 대한 음가 문제는 형태론적인 측면에서 볼 때 재고의 여지가 있다고 본다.

목차

요약
 1, 서론
 2. ‘멍’ 포함 용언
  2.1. 단일 형태소 어간
  2.2. 파생 용언
 3. ‘멍’ 포함 체언
  3.1. 파생 명사
  3.2. 합성 명사
  3.3. 합성 용언
 4. 부사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동석 Lee, Dong seok. 청주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