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 도덕과 교육의 발전 방향

원문정보

A Study of development direction of 'Moral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차우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study or subject is confronted with the new crisis and challenge according to speedy social change.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and responding style, the fate of such a study or subject must be decided. 'Moral Education' is not an exception of this. At the same time the maintenance of it's identity and traits, it has to promote the positive acception of social demands and individual demands in a timely.
If it goes on wheels, ‘Moral Education’ contributes to the advancement of student's psychological health, capacity for social life and national integrity as a foundation of the educational actvities. Also, the issues on effectiveness and identity are disappeared gradually.
'Moral Education' has to turn crisis to it's advantage for opportunity of development from now on. One of them developes systematic education activity through 'Moral Education' contents system of national curriculum level, that is reflected new demands.

한국어

모든 학문이나 교과는 급속한 사회변동에 따라 새로운 위기와 도전에 직면하게 된다. 당면한 위기를 어떻게 느끼고 이해하며 적절히 대응하느냐에 따라 각 교과의 운명과 발전이 좌우될 것이다. 도덕과도 여기에서 예외일 수 없다. 따라서 도덕과는 교과의 본질과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국가 사회의 요구와 학생 개인의 요구를 적극적이고 적시적으로 반영하여 발전 방향을 모색해야 나가야 한다.
오늘날의 한국 사회는 물질문명이 발전하고 개인의 권리와 자율성이 많이 보장되고 있지만, 지나친 개인주의와 공동체의 상실, 전통의 단절과 같은 정체성 혼란, 지나친 경쟁의식으로 협동과 화합하는 능력 부족, 가족주의와 연고주의 및 순수단일민족주의와 같은 폐쇄성 등의 도덕적인 병을 앓고 있다. 이러한 병은 어린 시기부터 단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치유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초등학교 단계에서부터 도덕교과를 통한 전문적인 교사에 의해 체계적인 교육 활동이 강화되어야 한다. 도덕교육은 모든 교육활동의 기초로서 학생들의 정신건강과 사회생활 능력 향상 및 국민통합에 크게 기여하는 제 모습을 갖추어나가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도덕과 교육의 실효성과 정체성 논란도 점차 사라질 것이다.
도덕과 교육도 위기를 발전을 위한 기회로 삼아 급속한 사회변동에 맞서 새로운 도전을 준비하고 시작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 중의 하나가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체제에 새로운 요구를 반영하여 체계적인 교육활동을 전개해 나가는 것이다.
도덕 교과는 각 개인과 국가 사회의 다양한 요구를 적절히 수용해야 한다. 그렇다면, 현재 혹은 미래의 한국 사회에서 요청되고 있는 도덕교육의 내용은 무엇일까? 이러한 요구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인가?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도덕교과에 요구되는 있는 개인적 혹은 국가 사회적 요구들을 면밀히 살펴보고, 이것들이 도덕과 교육에 어떻게 반영되고 구현될 수 있는지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도덕과 교육의 필요성과 위기
 Ⅱ. 사회 변동과 도덕과 교육의 새로운 변화
 Ⅲ. 도덕과 교육의 새로운 도전과 대응
 IV. 마무리 하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차우규 Cha, Woo-Kyu.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