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노인 일자리 정책 : 수요대응인가, 나눠주기인가? 경상북도 23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원문정보

Elderly Job Project: Is it Response Policy for the Demand or a Kind of Distribution Policy? Focused on 23 Local Governments in Gyeongsangbuk-Do

박성만, 조덕호, 김병규

초록

한국어

현재 우리사회, 특히 농촌사회에 있어 대두되고 있는 고령화로 인한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는 정부의 노인일자리 사업이 제대로 수행되고 있는가를 경상북도 23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검토하였다. 노인일자리 사업유형별로 예산, 전담인력, 수행기관과 같은 요인들이 일자리 창출이라는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부의 노인일자리사업은 지자체가 독자적으로 할 수 있는 규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로부터 50%의 예산을 보조받고 나머지 50%를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하여 보건복지부가 정한 규정에 따라 시;도 별로 할당된 사업량을 각각의 기초자치단체의 수행기관을 통해 집행한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즉, 노인일자리사업은 지자체간의 사업유형별로 예산액, 전담인력의 수, 수행기관에 있어 변이가 거의 없는 정부의 나눠주기식의 사업에 불과하다. 이러한 지역의 특성이나 시장성 등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사업에서 탈피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노인규모 같은 양적인 기준에 의해서만 정책이 배분되는 것은 지양되고 노령화지수나 시장성 같은 질적인 요인들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보건복지부에서 제시하는 지침에 따른 수동적인 일자리사업의 한계를 벗어나 지자체의 자율적인 정책의지가 반영된 노인일자리 사업이 추진되어야 한다. 노인일자리사업이 양적인 기준을 넘어서 질적인 기준이 동시에 고려되고 중앙의 지침에 지자체의 정책의지가 더하여 질 때 보다 적실성 있는 일자리사업이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노인일자리에 대한 이론적 논의
  1. 노인 일자리사업의 필요성
  2. 정책으로서 노인일자리사업
  3. 노인일자리 사업의 유형
  4. 선행연구검토 및 분석틀의 구성
 Ⅲ. 경상북도 노인일자리 사업평가
  1. 경상북도 시군 노인일자리사업 현황분석
  2. 노인일자리사업의 성과
 Ⅳ. 경상북도 노인일자리 사업의 문제점
 Ⅴ. 결론
 【참고문헌 】

저자정보

  • 박성만 대구대학교 행정학과 연구교수
  • 조덕호 대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김병규 대구대학교 행정대학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강신옥. (2009). 「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분석」, 박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 2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employment promotion project네이버 원문 이동
  • 3A Korea-U.S. Comparative Study on Senior Employment Programs -On the Basis of SCSEP in U.S. and Senior Employment Projects in Korea-네이버 원문 이동
  • 4권중돈. (1995). 「고령자고용실태조사」. 고령자취업알선센터.
  • 5권중돈. (2007). 「노인복지론」. 서울: 학지사.
  • 6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09). 「고령화 사회에 대응한 경기도 노인일자리 활성화 방안」.
  • 7김옥희. (2008). 대도시 노인일자리사업이 참여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분석. 사회보장학회 학술대회논문집. 89-115.
  • 8문승삼. (2005).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근로의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석사논문,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9보건사회연구원. (2009). 「2008년 지방자치단체 복지종합평가 연구」. 보건복지가족부.
  • 10보건복지가족부. (2008).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