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 Analysis on the KLGR (Korean Local Government Review) : Focused on the Research Scope and Methodology
초록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2000. 2~2010. 2 까지 대한지방자치학회에서 발간한「한국지방자치 연구」 총 265편의 논문을 통하여 한국지방자치학의 연구영역과 방법론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영역은 지방행정학 분류체계에 따라 10개 영역으로 분류하고 이를 다시 분야별로 중분류화 하였으며, 연구방법론은 계량적 접근방법과 서술적 접근방법에 대하여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논문 편수와 연구자 소속을 보면, 단독연구가 70.5%이고 그 중에서 대학교수가 55.1%이며, 공동연구는 29.4%이다. 연구비 지원은 8.7%로서 낮은 수준이다. 지방자치 연구영역별 시대적 연구경향을 보면, 기존의 연구가 행정관리, 지역개발 및 환경 분야, 그리고 복지와 문화 등에 중점을 두었으나 2006. 1 이후에는 산업 및 경제, 지역개발, 안전관리 등에 대한 연구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연구(22.3%)보다 계량적 연구(66.7%)가 크게 증대하고 있으며, 연구초점은 규범적/이론적 연구(36.6%)보다 문제해결적/처방적 연구(63.4%)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통계기법은 기술통계(빈도, 평균, 분산), 요인분석 및 인과관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의 참여형태와 관련하여 학자와 실무자 간에 협업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지방행정학의 연구영역을 다양화하고 행정환경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 셋째, 학술지의 정체성 확립과 함께 연구비 지원이 적극화되어야 한다. 넷째, 학문의 균형적 발전을 위하여 규범적/이론적 연구기반을 견고하게 해야 한다.
목차
Ⅰ. 서론
Ⅱ. 학술지 분석의 필요성과 선행연구
1. 학술지 분석의 필요성
2. 선행연구
Ⅲ. 분석절차 및 방법
1. 분석논문의 선정
2. 지방자치학 연구영역의 분류
3.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1. 기본 사항
2. 연구영역의 경향분석
3. 연구방법의 경향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
저자정보
참고문헌
- 1한국행정학의 연구경향에 관한 실증적 분석네이버 원문 이동
- 2韓國政策學 分野의 硏究內容과 그 性格네이버 원문 이동
- 3행정연구의 영향 및 의존분석네이버 원문 이동
- 4Trends of the Science of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Delineated in the Contents Analysis of KPAR네이버 원문 이동
- 5한국 지방자치학 분야의 연구경향 분석네이버 원문 이동
- 6지역개발학 연구경향 분석(1989-1998)네이버 원문 이동
- 7이정엽. (1993). 「한국행정학의 연구영역: 교과서와 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8한국행정논집 분석 : 행정학 연구영역과 연구방법을 중심으로네이버 원문 이동
- 9Public Administration Review: The First Fifty Years네이버 원문 이동
- 10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 Assessment of Journal Publications네이버 원문 이동
- 11Public Administration as a Science of the Artificial: A Methodology for Prescription네이버 원문 이동
- 12Research Methodology in the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1975-1984네이버 원문 이동
- 13Stallings, Robert A. & Ferris M. (1988).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Work in PAR, 1940-1984.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8(1): 580-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