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예비유치원 교사의 도덕 판단 유형에 관한 연구 - 수단 판단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oral Judgmen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 Focused on Means Judgment -

조영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oral judgment Types a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Female : 30)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wo year colleges was presented twenty-four stories combined means (fair vs foul) and outcome (positive vs negative).
Subjects were asked to judge the goodness or badness of each character in twenty-four stories on four point scale. They were also asked to assign how many give score to goodness or badness of each character in stories and why give score.
Results showe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can use not for an intention or in consequence but differentially a fair means vs a foul means for making moral judgement.

한국어

본 연구는 예비유치원 교사의 도덕 판단 유형을 파악하고자하며 연구대상은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중인 예비유치원교사 30명이다. 연구방법은 모두 24가지의 다른 이야기들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각 이야기속의 주인공이 얼마나 착한지 또는 나쁜지 그리고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에 대해 응답하도록 하였다. 실험결과 예비유치원 교사들은 의도나 결과에 따라 행위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수단의 정당성 여부에 따라 옳고 그름을 판단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연구방법
  1. 연구가설
  2. 연구대상
  3. 도덕 판단에 사용된 시나리오
 III. 연구결과
 IV. 논 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영미 Cho, Young-Mi. 양산대학 유아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