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rranged in the role, the built purpose, and the ideology of education of the Confucian temple and school in the Joseon Dynasty, and characterized simply as not a middle education institute but higher education's. The Confucian temple and school in the Joseon Dynasty was built by multi purposes such as training and developing for talented persons, edification of local citizen, and refining of custom under Confucian guided ideology. The Confucian temple and school in the Joseon Dynasty was built in local district instead of them while there were Seonggyungwan(成均館, The highest educational institute) and Four designated schools(四學, Sahak) in Seoul. According to students who were over 16 years old and curriculum of Seonggyungwan and Four designated schools, the Confucian temple and school took a role as local n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 themselves. Seeing educational level as training for talented persons in a local district, the Confucian temple and school were actively promoted from the early in the Joseon Dynasty and very important so that the leader of the local district was in charge of education. Especially, they had the learning for children(小學, Sohak) and the Nine Chinese Classics(四書五經, Saseo-Ogyeong) as main courses, emphasized the basis of humanity, actively contributed to promoting Confucian consciousness through rites for Confucius(釋奠祭, Seokjonje), the feast for local Confucian(鄕飮酒禮, Hyangeumjoorye), the Confucian rituals through archery(鄕射禮, Hyangsaje), and the consoled feast for the senior(養老禮, Yangrorye). With edification of local citizen and refining of custom, the Confucian temple and school strongly showed intention to establish morals and ethics of human beings through infusing a political ideology of Confucianism and 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三綱五倫, Samgang-Oryun) It was the faithful educational mode in the political structure and Confucian ideology.
한국어
본고는 조선시대 鄕校가 中等敎育機關이 아니라 高等敎育機關으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간략하게 밝히고, 향교의 교육이념과 설치 목적, 역할 등을 정돈한 글이다. 조선시대 향교는 儒敎의 지도 이념 아래 지방의 인재 양성과 지방 백성의 교화, 풍속의 純化라는 중층적 목적을 지니고 설치되었다. 서울에 成均館과 四學이 있었다면, 지방에는 이를 대신할 학교로 향교를 설립하였다. 성균관과 사학의 교육과정 및 16세 이상의 생도를 정원내 학생으로 선발하는 향교의 규정으로 미루어 볼 때, 향교는 지방의 국공립 고등교육기관으로서 역할을 자임했다고 생각된다. 지방의 인재양성이라는 교육적 차원에서 볼 때, 향교는 조선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진흥되었고, 각 지방의 수령이 교육을 책임져야 할 만큼 그 중요성을 부여한 교육기관이기도 했다. 특히 小學을 비롯하여 四書五經을 교육의 주요 과정으로 두고, 인륜의 기초를 강조하였으며, 釋奠祭, 鄕飮酒禮, 鄕射禮, 養老禮 등 유교적 의례를 통하여 유교 의식을 함양하는 데 적극 기여하였다. 백성 교화와 풍속의 순화라는 차원에서, 향교는 유교의 정치 이데올로기 주입과 三綱五倫을 통한 인간의 윤리 질서를 확립하려는 의도를 강하게 드러냈다. 그것은 유교 이념과 정치 체제에 충실한 교육의 양식이었다고 판단된다.
목차
I. 緖言
II. 高等敎育機關으로서의 鄕校의 자리매김
III. 鄕校의 設置目的과 敎育理念
IV. 鄕校의 役割과 機能
V. 結語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