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독일 통일 이후 구동독지역 권력엘리트의 구조 변화

원문정보

Strukturwandel der ostdeutschen Machteliten nach der Wiedervereinigung Deutschlands

마르쿠스 폴만, 이종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Über vierzig Jahren existierten die DDR und die BRD nebeneinander. Die differenzierten Systeme der zwei deutschen Staaten in verschiedenen Bereichen wie Wirtschaft, Politik und Kultur usw. führten zu einer unterschiedlichen Entwicklung der Sozialstruktur und der Elitenstruktur in Ost und West. Nach der Wende hatte sich die ostdeutsche Sozialstruktur verändert. Im Prozess des soziostrukturellen Wandels wurde die Elitenstruktur in Ostdeutschland grundlegend umgestaltet. Die ostdeutsche Elitenstruktur vor der Wende war eine zentralistisch- hierarchische und politisch-ideologische, homogene Monopol-Elitenstruktur. Nach der Wiedervereinigung traten an die Stelle der DDR-Monopol-Eliten plurale Teil-Eliten nach dem westdeutschen Muster. In Ostdeutschland lässt sich einen ‘Sonderweg’ der Elitentransformation beobachten. Der Zerfall der ‘ideologischen Elite’ vollzog sich hier nach der Wende ungewöhnlich rasch. Der Eitentransfer von West nach Ost fanden vor allem im Bereich der Verwaltung und der Justiz statt. Der strukturelle Wandel der politischen Eliten nach der Wende lässt sich durch mehrere Merkmale kennzeichnen. So kam es nach der Wende erstens zu einer durch den Abtritt der 'Gegenelite' ausgelösten Wende nach der Wende. Mitte der neunziger Jahre traten ostdeutsche Politiker aus dem Umfeld des kirchlichen Protestantismus, die aktiv den deutsch-deutschen Einigungsprozess mitgestaltet hatten, weitgehend von ihren politischen Positionen zurück. Auffallend ist zweitens der große Anteil an Ingenieuren und Naturwissenschaftlern. Die politische Nach-Wende-Elite stammte überwiegend aus den technologischen und naturwissenschaftlichen Bereichen der DDR-Gesellschaft. Bei den westdeutschen politischen Eliten dominierten hingegen Juristen und Pädagogen. Drittens lässt sich eine vertikale Elitenreproduktion beobachten: Vor allem die Kinder der sozialistischen Dienstklasse formierten sich nach der Wende zu einer politische Elite. Dieser Aufsatz befasst sich mit dem Strukturwandel der ostdeutschen Machteliten nach der Wiedervereinigung Deutschlands.

한국어

독일 통일은 40년 동안 지속된 동독사회주의의 붕괴와 구동독지역의 정치, 경제, 법률 등 사회구조에 있어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독일 통일 후의 구동독지역의 체제변동은 엘리트구조의 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동독지역의 사회구조 및 체제변화는 체제전환이론에 기초하여 분석할 수 있다. 통일 전 동독 엘리트 구조인 중앙집권적이며 위계적이고, 정치 이데올로기적으로는 동질적인 독점엘리트 구조는, 통일 후 다원주의적인 분야별 전문엘리트 구조로 변해가고 있다. 독일에서의 엘리트 연구는 통일 후 구동독 지역에서 엘리트의 변화가 ‘특이한 경로’를 걷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독일 통일 후 구동독 권력엘리트의 변화는 소련식 인민민주주의를 구현했던 다른 구동구권 국가들과는 다른 양상을 띄게 된다. ‘이데올로기적 엘리트(Ideologische Elite)’의 몰락은 동독지역에서 하루 아침에 일어나게 된다. 서독에서의 동독으로의 엘리트의 이동은 특히 행정, 법조계에서 크게 관찰되고 있다. 통일 이후 동독 엘리트의 구조변동으로는 첫째, 엘리트에 있어서 행위주체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교회를 중심으로 하는 저항 운동의 중심에서 정치적으로 선도적인 위치에 있었으며, 독일 통일과정에 적극적인 역할을 했던 정치가들이 1995년 경에 정치권에서 물러나는 권력이동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공학계열 및 자연계 출신들의 등장을 꼽을 수 있다. 구서독 정치인들이 법조계나 교육계 출신들이 많은 것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셋째, 수직적인 엘리트의 재생산을 꼽을 수 있다. 통일 전 엘리트 계층의 자녀들이 통일 후 대폭적으로 권력엘리트 계층을 형성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독일통일 이후 한국에서의 독일통일 및 독일 엘리트 연구에 일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통일 이후 동독지역에서 관찰된 권력엘리트 변화를 심층적으로 조망하여 구동독지역 권력엘리트의 구조적인 특성을 분석한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통일 이후 사회구조 변동 속의 구동독지역 엘리트의 변화
  1. 통일 이후 구동독지역의 사회구조변화
   1) 만회하는 부의 성장
   2) 사회적 불평등의 심화
   3) 권력집중 현상의 완화
   4) 신경영관리 경향
  2. 통일 이후 구동독지역의 엘리트 변화
   1) 통일 전 동독 엘리트의 특징
   2) 통일 후 구동독지역 엘리트의 변화
 III. 통일 이후 구동독지역 권력 엘리트의 구조
  1. 행위주체의 변화
  2. 공학계열 및 자연계 출신들의 등장
  3. 수직적인 엘리트의 재생산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마르쿠스 폴만 Markus Pohlmann.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 사회학과 교수, 사회학박사
  • 이종희 Jong-Hee Lee.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방송토론팀장, 사회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