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Fashion Store Attributes and Brand Equity according to Lifestyle and Brand Type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d the attributes of fashion stores and their effects on brand equity. The sample population was segmented according to fashion consumer lifestyle to understand the group differences. To fulfill the study objectives, first, a total of 78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ustomers with first-hand experience with fashion merchandise in fashion stores. Second,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employed on samples in the age group ranging from twenties to forties over a period of one month.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chose fiv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customer's lifestyle. The number of iterations in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sample population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different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different factors affect brand equity of each brand type. Store environment especially only had a notable effect on the brand awareness of foreign brands and sales promotions only had a notable effect on the brand image of domestic brands. Therefore, apparel companies should focus on making effective and detailed strategies that satisfy their consumers.
한국어
본 연구는 패션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40대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패션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점포 속성과 브랜드 자산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또한 점포 속성의 세부 요인이 브랜드 자산인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브랜드 관련 변수들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고자 했다. 첫째, 패션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나눈 4개의 집단 간 점포속성과 브랜드 자산에 나타나는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점포속성의 판매촉진을 제외한 3개의 속성과, 브랜드 자산의 4개의 속성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국내 패션브랜드의 점포환경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들이 브랜드 인지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국내 패션브랜드의 판매촉진 요인과 해외패션브랜드의 판매촉진, 입지편리성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들이 브랜드 신뢰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해외 패션브랜드의 판매촉진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들이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국내/해외 패션 브랜드 소비자의 지각된 브랜드 인지도와 신뢰가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국내/해외 패션 브랜드 소비자의 지각된 브랜드 이미지, 인지도와 신뢰가 브랜드 충성도에 모두 영향을 미쳤다.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소비자 라이프스타일(consumer lifestyle)
2. 패션 점포 속성(fashion store attribute)
3. 브랜드 자산(brand equity)
III. 연구방법 및 절차
1. 연구문제
2. 자료 수집 및 분석
3. 측정 도구
IV. 연구결과 및 논의
1. 연구대상의 특성
2. 신뢰성 및 타당성 검정
3. 패션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소비자의 유형화
4. 연구문제 검증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