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李三晩의 元氣自然的 서예미학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Lee Sam-man's Wongijayŏn Calligraphic Aesthetics

장지훈

한국동양예술학회 동양예술 제15호 2010.08 pp.121-14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angam Lee Sam-man(蒼巖 李三晩 : 1770-1847), active in the Chosun period of the nineteenth century, was not considered to be the best calligrapher by his contemporary. Yet he was one of the calligraphers who characterized the late Chosun period calligraphy with Wongyo Lee Kwang-sa(圓嶠 李匡師 : 1705-1777) and Ch'usa Kim Chŏng-hi(秋史 金正喜 : 1786-1856). He was a strong-willed calligrapher who created his unique calligraphic style called Yusuch'e(流水體 : literally, a style that flows like water) through an incessant effort despite of his humble origin of Chungin(中人 : middle group of people). His calligraphic exploration can be seen through many of his calligraphic collections and calligraphic treatises recorded from his late fifties until his death. This paper focuses on his calligraphic theories from his calligraphic treatises to examine his unique calligraphic aesthetics. Lee Sam-man considered that calligraphy lost its Wongi(元氣 : original spirit) and its fundamental nature as it moved further away from its foundation since Han and Wei dynasties. As a way to recover the original spirit of calligraphy, he paid his attention to the calligraphic aesthetics of Wongijayŏn(元氣自然 : original spirit and nature) originated in the Han period. He encouraged the individualistic and independent calligraphic spirits based on natural human sentiments and he tried to renovate the Chosun calligraphy that lost its vitality and spirits by sublimating the power of spiritual strength into calligraphic beauty. In the area of artistic creation, he pursued dynamic beauty through the usage of the brush of Ch'ujŏn(推展 : literally, push and expansion) and realized the beauty of Ilwunmi(逸韻美 : beauty of comfortable rhyming) based on natural sentiments. This artistic achievement overcame to a certain degree the general calligraphic aesthetics of Chosun that bound arts with ethics and moved toward the free artistic achievement. To sum up, Lee Sam-man tried to create a dynamic Chosun calligraphy by combining the honest natural sentiments and vitalistic spirits and power. That is, he created a self-obtained calligraphic world through the Wongijayŏn calligraphic aesthetics

한국어

조선조 19세기에 활동했던 蒼巖 李三晩(1770-1847)은 당시 최고의 반열에 오르지는 못했지만 圓嶠 李匡師(1705-1777), 秋史 金正喜(1786-1856) 등과 함께 조선후기를 대표하는 서예가이다. 그는 中人의 신분으로 어려운 환경에서도 刻苦의 노력으로 ‘流水體’라는 獨自的 서풍을 개척했던 불굴의 서예가였다. 그의 서예탐구는 50대 후반부터 말년에 이르기까지 기록한 여러 書帖과 書訣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이 가운데서도 본고는 書訣에 담겨진 이론을 분석하여 이삼만의 서예미학을 탐구하였다. 이삼만은 漢․魏 이래 서예가 근본에서 점차 멀어지면서 元氣가 쇠락하고 본연의 정신을 상실했다고 간주하고, 서예의 원형을 회복하기 위해 漢代에 근간한 元氣自然의 서예심미에 주목했다. 그는 자연심성에 바탕하여 개성적․주체적 서예정신을 고취시켰으며, 氣勢의 力量을 서예미로 승화시킴으로써 生氣가 고갈되고 생명력이 상실된 조선의 서예를 일소하고자 했다. 창작 상에서도 推展의 用筆法을 통해 力動美를 강구했으며, 天然의 자연심성에 바탕한 逸韻美를 실현하였다. 이러한 창작경계는 예술이 윤리에 종속되는 조선의 보편적 서예심미에서 일정정도 벗어나 자유의 예술경계를 지향하는 것이었다. 요컨대, 이삼만은 진솔한 자연심성과 생명력 있는 氣勢를 결합하여 역동적인 조선의 서예를 창도하고자 했다. 즉, 元氣自然의 서예미학을 통해 自得의 서예경계를 구현했던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I. 緖論
 II. 元氣自然의 生命美 志向
 III. 推展의 方動美 創出
 IV. 得筆天然의 逸韻美 具現
 V. 結論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지훈 Jang Ji-Hoon. 경기대학교 서예ㆍ문자예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