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성찰’과 ‘비평’의 개념에 기초한 수업보기

원문정보

Observing instruction based on 'reflection' and 'criticism'

임현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teacher's way of looking at classroom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I search the concept through a 'Reflection' by a Schon and a 'Criticism' by an Eisner.
Schon's theory based on 'reflection' contains followings; First, it emphasizes that the subject to reflect a class is the teacher itself. Second, it focuses on teaching process rather than results. Third, the teaching context is important.
Eisner's theory based on 'Criticism' contains followings; First, an observer for class becomes the tool of observing. It allows various thoughts depending on the observer's educational opinion. Second, revealing of an observer's thought can communicate productively. Third, it focuses on understanding rather than evaluation of a class.

한국어

수업의 성격을 과학성과 예술성으로 보았을 때, 우리는 수업의 과학성 측면을 주로 보아왔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우리가 간과해왔던 수업의 예술성 측면에 주목하여, Schon의 ‘성찰’과 Eisner의 ‘비평’의 개념을 통해 수업을 보는 관점을 탐색하였다.
수업의 과학성 측면에서 수업을 보는 기존의 관점은 흔히 체크리스트로 나타나는데, 수업을 종합적, 분석적, 객관적, 양적으로 본다. 이러한 관점은 관찰자의 관점과 관찰 대상을 제한하고, 수업을 탈맥락적으로 관찰하게 하며, 수업의 외적 형태나 행위 또는 결과에 주목하여 피상적으로 수업을 보게 한다. 이러한 수업 보기의 한계를 인식한 여러 연구자들은 수업을 새롭게 보는 여러 가지 관점에 관심을 기울였다.
이 중에서 Schon의 ‘성찰’의 개념에 기초하여 수업을 보는 관점은 첫째, 수업을 보는 주체가 수업자 자신임을 강조한다. 둘째, 수업의 결과보다는 과정에 초점을 둔다. 셋째, 수업 현장의 맥락을 중요시한다. Eisner의 ‘비평’의 개념에 기초하여 수업을 보는 관점은 첫째, 주어지는 관찰도구에 의하지 않고 관찰자 본인이 관찰의 도구가 된다. 때문에 관찰자의 교육적 감식안에 따라 다양한 관점을 허용한다. 둘째, 수업을 보는 관찰자의 관점이 드러난다. 관찰자는 자신의 관점을 공개함으로써 생산적인 대화가 가능해진다. 셋째, 수업의 평가보다는 이해에 초점을 맞춘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성찰’과 ‘비평’의 개념
  1. Schön의 ‘성찰(Reflection)’
  2. Eisner의 ‘비평’
 Ⅲ. ‘성찰’과 ‘비평’의 눈으로 수업보기의 의미고찰
  1. ‘성찰(reflection)'의 눈으로 수업보기의 의미
  2. ‘비평(criticism)'의 눈으로 수업보기의 의미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현정 Lim, Hyun-Jung. 청주직지초등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