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농촌지역 토지의 공간재구성을 위한 모델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model of spacial reconfiguration of rural areas according to the industry restructuring

윤희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ology for the land use reconfiguration in rural territories according to the change in social value caused by the industrial restructuring in the twenty first century. The study is partially based on "the Executive Planning for the Scenery Care of Yongdae-ri Village Unit" which was submitted to Inje municipal government in october 2006 to suggest a strategic method for the settlement layout re-organization. The new strategy is targeting the revitalization of the existing environment through the modification of the social and spatial network towards a more sustainable local node. Since the old model of the rigid functionalistic structure of the rural townscape cannot cope with the fast changing spatial needs in this globalized world, this study proposes an open and pliable type of rural geography that can buffer the cultural and economical influence from the outside. At the end, a practical checklist is provided for the restoration of the distorted land use in Yongdae-ri area. The expected result aims to the enhanced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environment and built environment; symbiosis system for human and nature; organic integration of the ecology, economy, and social values.

한국어

본 연구는 다양한 사회적 요구의 변화에 대하여 점진적으로 순응하고 동시대의 보편적 가치에 부합하는 토지의 이용 및 공간재구성을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2006년 10월 인제군에 제출된 <용대리 마을단위 경관관리 실행계획> 중에서의 일부 내용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현실에서 실행 가능한 모델을 통해 전략적 실천방안을 모색하였다. 산업시대의 지역개발 방식이 자본과 경제성에 절대적 우위의 가치를 두고 효율적인 양적 수급을 목표로 하였다면, 새로운 시대에는 이와 같은 일회성 계획으로부터 탈피하고 공간지리적, 사회문화적 특징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지역개발의 방향과 비전을 수립하고, 지역의 특성에 맞는 산업의 형식을 예측하며, 그에 걸맞은 정주적 개념을 내포한 공간구조 모델의 탐구가 절실히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왜곡된 땅의 잠재력의 회복, 주위환경과 대지의 자연스런 관계설정, 시간적 연속성을 지닌 필지 내의 공간구성, 그리고 지속적인 경관관리 지침을 통해 우리는 인간과 자연, 산업과 생태, 경제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의 공존을 위한 개발전략을 세우고자 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사회문화적 배경 및 공간개념의 기본방향
  2.1 사회문화적 배경
  2.2 미래의 산업과 새로운 공간개념의 기본방향
 3. 여건변화에 따른 공간재구성의 필요성 - 용대3리
  3.1. 용대리의 현재
  3.2. 용대3리의 공간구조 특성
  3.3. 용대3리의 토지이용현황
  3.4. 주변여건변화와 미래대응전략
 4. 탈산업시대의 농촌지역 토지의 공간재구성을 위한 모델제시 - 용대3리 덕장마을 공간 시뮬레이션
  4.1 계획의 기본구상
  4.2 기본계획
  4.3 순차적 개발에 따른 변화 시뮬레이션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윤희진 Yun, Hee-Jin. 경기대학교 건축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