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의암 손병희의 심성 수양론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Euam's Idea of Mind and Cultivation of the Mind

송봉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is to study Euam's idea of mind and cultivation of the mi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mind. It seems that Donghak's idea is that there doesn't exist vice because Hanul is in the human body. But this is not true of the real world. How did Euam explain this?
He thought that human nature has two features, one is Wongakseong and the other Hyeulgakseong. Wongakseong stands for the pure mind and Hyeulgakseong the impure mind. And Hyeulgakseong creates Muljeongsim(the mind stained with the external objects) in the human mind. Vice arises from this very Muljeongsim. Then how should people cultivate the mind to attain to the human nature after they realize Euam's idea of the structure of the mind? Euam's way of cultivating the mind is to keep on reciting the 21 words with sincerity, which is not different with that of his two masters, Su-un and Haewol.
However, he also presented a new way other than his two masters. His new way reminds us how minutely he searched the human mind.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show that Euam developed two masters' way of cultivating of the mind and his new way has the connection with Mencius and Chu-tzu.

한국어

이 논문은 의암의 심성론과 수양론을 연구하는 것이다. 심성론을 연구하는 이유는 우리 마음의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서다. 동학의 논리에 의하면 사람의 마음은 한울님을 모신 순수한 것인데 그렇다면 현실에 악은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이것을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가?
의암은 사람의 마음중에 물정심(외부 사물에 물든 마음)이 있는데 이 마음이 있기 때문에 악이 발생한다고 한다. 이 마음의 근원지를 거슬러 올라가면 혈각성(화복으로 인과를 삼아 선도 있고 악도 있음)이 있는데 이 혈각성 때문에 물정심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의암의 마음구조를 살펴보면 마음안에 순수한 마음과 사물에 물든 마음이 같이 공존하고 이 뿌리를 살펴보면 이 두 마음을 존재하게 하는 성품도 존재한다. 그 성품을 전자는 원각성이라하고 후자를 혈각성이라 한다.
마음의 구조가 이렇게 밝혀지면 남은 과제는 이 마음을 수양하여 순수한 마음을 회복하여 순수한 성품을 만드는 것이다. 이 공부의 과정을 수양론이라 한다. 의암의 공부방법 역시 마음을 스승을 삼아 21자 주문을 독실하게 외우는 것은 두 분 스승과 같은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자세한 공부의 방법을 살펴본 결과 두 분 스승과 다른 공부 방법도 찾을 수 있었다. 이런 방법론을 살펴보면 얼마나 마음을 세밀하게 살폈기에 이와 같은 공부 방법론을 만들 수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 절로 들게 만든다. 스승들이 남겨놓은 공부방법을 더욱 세밀하게 발달시킨 것이 의암 공부방법의 특징이고 그리고 그 방법이 맹자와 주자의 공부방법론과 연장선상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는 것이 이번 논문의 성과라고 할 수 있겠다.

목차

한글요약문
 1. 서론
 2. 본론
  1) 심성론
  2) 수양론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송봉구 Song, Bong-gu. 영산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