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tends to inspect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problems for solving them in the operation of inclusive clas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As for the research method, 1-2 times in-depth interviews per teacher were performed for 10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teaching experience including more than 3 years' career in the inclusive class operation among teachers to perform the inclus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t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re shows. In the operation of inclusive class,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have a problem on inclusion time according to the level of disability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problem on balance between happiness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the educational effect of inclusion education, and problem on instruction methods and level setting owing to difficulty in judging the present level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predicting their future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 addition, they have a problem on the positive effect and negative aspect of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problem on the practical strategies for supporting young children may shape equal peer relations, and problem on setting their roles as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 of inclusive class.
한국어
본 연구는 통합학급 운영 시 사립유치원 교사가 가지는 고민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서울 지역 사립유치원에서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사 중, 통합학급 운영 경력 3년 이상을 포함한 전체 교직 경력 5년 이상의 유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교사 당 1-2회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통합학급의 사립유치원 교사들은 통합학급을 운영하면서 장애유아의 장애 정도와 발달에 따른 통합 시간에 대한 고민과 장애유아의 행복과 통합교육의 교육적 효과 사이에 균형을 이루기 위한 고민 그리고 장애유아의 현재 수준과 미래의 발달 가능성을 판단하고 예측하기 어려움으로 인한 지도 방법과 수준 설정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장애 이해 교육의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측면 사이에서의 고민, 유아들이 동등한 또래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실제적인 전략에 대한 고민 그리고 통합학급의 유아교사로서 자신의 역할을 설정하는 데에 따르는 고민들을 가지고 있었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방법 및 절차
3.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및 해석
1. 장애유아의 장애 정도에 따른 통합 시간 고려하기
2. 장애유아의 행복과 교육적 효과 간에 균형 잡기
3. 장애유아 수준에 따른 적절한 지도수준 설정하기
4. 장애 이해 교육의 양면성 고려하기
5. 동등한 또래 관계 지원하기
6. 통합학급 유아교사의 역할 설정하기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