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평형능력 발현 시 댄스스포츠 참여자의 수준별 하지의 근수축력(iEMG)

원문정보

The Study on Integrated Electromyogram (iEMG) of Lower Limb During Balancing According to the Levels of Participation in the Dancesport

임병규, 이소영, 최종인, 김기홍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INESIOLOGY, 2010, 12(3): 55-63. The Study on Integrated Electromyogram(iEMG) of Lower Limb During Balancing According to the Levels of Participation in the Dancesport. [INTRODUCTION] This study was purposed to provide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the efficient exercise program for participants in the dancesport, by different results of electromyogram during balancing of participants in the dancesport whose levels are categorized
for the analysis. [METHOD]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chosen from females of 20s to 30s in Busan; 78 from the player group of dancesport, 66 from the experienced group, and 72 from the general group. Variables of lower extremity muscle's iEMG are iEMGs of tibialis anterior, soleus, medial head of gastrocnemius, and lateral head of gastrocnemius. Variables are measures by levels of participantion in the dancesports. Results are analyzed by SPSS 12.0, using one-way ANOVA. If any significance is shown, the post-test was conducted by the Scheffe method. The level of significance in denial of statistical hypothesis is p<.05. [RESULT] For lower extremity
muscle's iEMG, the player group had a higher number in medial head of gastrocnemius(p<.001) than lateral head of gastrocnemius, tibialis anterior and soleus. Tibialis anterior was statistically higher (p<.001) than lateral head of gastrocnemius. The experience group had a higher number in medial head of gastrocnemius(p<.001) than lateral head of gastrocnemius, tibialis anterior, and soleus. Tibialis anterior was statistically higher (p<.001) than soleus and lateral head of gastrocnemius. The general group showed a higher iEMG (p<.001) in tibialis anterior than soleus, medial head of gastrocnemius, and lateral head of gastrocnemius. Medial head of gastrocnemius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soleus and lateral head of gastrocnemius (p<.001). Comparing iEMGs of each group of participants while balancing, tbialis anterior was higher in the general and experienced group than the player group (p<.001). Soleus was higher in the experienced group than the general group(p<.05). Medial head of gastrocnemius was higher in the player group than the experienced and the general group (p<.001), while the experienced group was higher than the general group. However, lateral head of gastrocnemius does not show any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For lower extremity muscle's iEMG while alancing, the player and experienced group has the highest medial head of gastrocnemius, while the general group has the highest tibialis anterior.

한국어

운동학 학술지, 2010, 12(3): 55-63. 평형능력 발현 시 댄스스포츠 참여자의 수준별 하지의 근수축력(iEMG). [서론] 이 연구는 댄스스포츠 참여수준에 따른 평형능력 발현시 하지근의 근전도 반응의 차이를 비교하여 댄스스포츠 참여자들의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피검자는 부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20~30대 여자로서 의학적 검사결과 건강상 이상이 없으며, 댄스스포츠 선수경력이 5년 이상 인 여자 78명, 댄스스포츠 선수 경력이 3년이상 이며 최근 2년 이상 선수생활을 안한 여자 66명, 댄스스포츠 선수 경험과 기타 운동선수 경력이 없는 일반인 72명, 총216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눈감고 외발서기 시 균형을 잡는 하지의 전경골근, 내측비복근, 외측비복근, 가자미근의 근수축력(iEMG)를 측정하였다. [결과] 일원변량분석 결과 평형능력 발현 시 하지근의 근수축력(iEMG)은 댄스스포츠 선수집단은 내측비복근이 통계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댄스스포츠 경험집단은 내측비복근이 통계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다음 전경골근이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반집단은 전경골근이 통계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 내측비복근
이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평형능력 발현 시 집단간 근수축력(iEMG)은 전경골에서는 일반집단, 경험집단, 선수집단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선수집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가자미근에서는 경험집단이 통계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내측 비복근은 선수집단, 경험집단. 일반집단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평형능력 발현 시 하지의 근수축력은 댄스스포츠 선수집단에서는 내측비복근이 높게 활성되며, 일반집단은 전경골근이 높게 활성되었다.

목차

초록
 서론
 연구 방법
  연구 대상
  근전도 측정
  자료처리 방법
 결과
  댄스스포츠 참여자의 집단 내 하지의 근수축력(iEMG) 비교
  하지 근수축력(iEMG)의 집단간 비교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병규 Lim, Byung-Kyu. 원광대학교
  • 이소영 Lee, So-young. 영산대학교
  • 최종인 Choi, Jong-In. 한서대학교
  • 김기홍 Kim, Ki-Hong. 한서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