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발달적 애도를 통한 변형적 내면화 과정

원문정보

The Process of Transmuting Internalization Through Developmental Mourning

김홍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urning is not only on separation by death but also on every painful losses. There are pain and sadness when lose the objects which injected one's libido like as nation, job, lover, pet, arts, health, community. When such losses occur to someone who has sealed ego owing to stop of development with serious wounds in phase of development, every psychological connection are stopped and he falls in depression with deep sense of isolation. The disruption of primary bond and internalization will be a obstacle for integration of self and separation and individualization. Every developmental object relationship will be experienced rightly as a human. The fatal frustration will serve as the core of pathology in one's entire life. Because the experiences of deprivation and exploitation and abandonment fill one's self with bad inner object through seperation and fragmentation.
In this paper, counselor as a benevolent object and holding environment emotionally helps the client who do not hav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internalizing to experience the mourning process. The mourning process in such empathy environment facilitate development process, transformative internalization, then client can make new self-representation. In other words, it deals developmental mourning which play a key role in psychological transformation and structuralization in this work. For this purpose, psychoanalytic theories about mourning to be considered and how the empathic role of counselor as a catalyst for developmental process of internalization can lead to client who in a state of pathological mourning with collapse of primary bond and internalization whether a new developmental phase is described in this paper.

한국어

애도는 사별뿐만 아니라, 인간이 경험하는 모든 아프고 고통스런 상실에 존재한다. 자신의 리비도가 강력하게 투여된 모든 자기대상, 예를 들면 국가, 일터, 애인, 애완동물, 예술, 건강, 공동체 등을 상실할 때도 슬픔과 고통이 존재한다. 만약 발달과정에서 발생한 치명적인 외상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발달이 정지되어 있는 봉인된 자아를 가진 사람이 이러한 상실을 갖게 되면, 모든 심리적 연결이 정지되고, 깊은 고립감과 함께 우울 속으로 빠져든다. 일차적인 유대와 내재화의 붕괴는 자기통합과 분리개별화에 장애물 역할을 한다. 인간이라면 마땅히 경험해야 할 모든 발달적 대상관계를 맺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생애초기에 경험된 치명적인 좌절, 즉 박탈과 착취와 유기 경험은 분열과 해리를 통해 나쁜 내적대상을 자기 안에 채워 넣게 되며, 이것은 일생동안 병리의 핵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논문은 상담자가 자애로운 타자와 정서적으로 안아주는 환경의 역할을 함으로써 발달적 내재화 과정을 갖지 못한 내담자에게 공감적 환경 속에서 일어나는 애도과정이 변형적 내면화라는 발달적인 과정을 촉진하여, 새로운 자기표상 형성에 관한 연구이다. 즉, 심리적 변형과 구조화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발달적 애도를 다룬다. 이를 위하여 애도에 대한 정신분석적 이론들을 고찰하고, 발달적 내면화 과정을 위한 촉매로써 상담자의 공감적 역할이 어떻게 일차적 유대와 내면화가 붕괴된 병리적인 애도 상태에 있는 내담자를 새로운 발달적 국면으로 이끌 수 있는지를 서술한다. 그리고 목회상담적 차원에서 교회가 지닌 좋은 대상의 내재화를 위한 자원들과 그것의 효과적인 적용을 제시한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애도에 대한 정신분석적 이론 고찰
  1. 지그문드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애도와 멜랑콜리”에서의 애도와 치료
  2. 멜라니 클라인(Melanie Klein)의 “애도와 조울 상태의 관계”에서의 애도와 치료
  3. 로널드 페어베언(Ronald Fairbairn)의 중심적 자아 확장을 통한 애도와 치료
  4. 크리스토퍼 볼라스(Christopher Bollas)의 애도와 치료
 III. 애도를 통한 변형적 내면화 과정을 위한 환경
  1. “떠나보내기”와 “홀로 있을 수 있는 능력”
  2. “심리적 변증법”과 “공감적 환경”
  3. “공생적 융합”과 “분리 개별화”
  4. “담는 것”과 “담기는 것”
  5. “안아주는 환경으로서의 공간”과 “시간”
 IV. 목회적 돌봄에서의 활용할 수 있는 자원들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홍근 Hongkeun Kim. 한세대학교 교수/ 실천신학 / 목회상담학, 영성신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