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Dancing with the Ideology of North Korea
초록
영어
In this study,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far North dance performed by the policy of the literary works and implementation of policies and examines historical changes in dance technique. This ideological and dancing were aimed at identifying relationships, ideology and art, consider the relationship would provide a opportunity.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ults of image analysis, As a liberal revolution, the people of North Korean in order to emphasize the ideological and political content that has been performed in independent dance policy. After the liberation, dance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and organizational foundation of socialist dance, in the 1960s, only to establish the anti-Japanese revolutionary ideas based on traditional dance, wrote to build strength, since the 1970s, early 1990s, the establishment of independent dance, business development and has intensified. The Korean nation-first policy is highlighted in the 1990s emphasis on ethnic elements to develop dance, art, was driven to succeed. Push through the 2000s as the ‘Songun’ revolutionary In response to the evolution of dance, art performances of various sizes and formats were developed actively. Labour to implement the policy of the dacne, dance works of national information on the type of socialist principles ruled. And subject material and the type of work and came up with a variety of outcomes. Dance of the work changes over the three times I get a revision of basic techniques amounting to. North Korea's dancing ability as
a means to implement the policies and ideology of North Korea and the dep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and the change means.
한국어
해방이후부터 현재까지 북한의 문예정책에서 수행된 무용방침과 구현작품 및 춤 기법의 변화를 역사적으로 살펴봄으로서 이데올로기와 춤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둔 것으로, 이데올로기와 예술의 관계를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문헌 고찰과 영상분석을 토대로 고찰한 결과, 북한은 인민 대중을 혁명적으로 교양하기 위한 강력한 수단으로서 사상 정치적 내용을 강조하는 주체적 무용예술의 발전을 위해 다양한 무용시책을 펼쳐왔다. 해방이후 무용인재와 무용기구를 조직하고 사회주의적 무용예술의 기초를 마련하고, 1960년대에는 유일사상 확립을 위해 항일혁명 전통에 입각한 무용예술 구축에 힘썼으며, 1970년대 이후 1990년대 초까지 주체적 무용예술의 확립과 심화 사업을 전개했다. 조선민족제일주의가 강조되는 1990년대에는 민족적 요소를 강조한 무용예술을 계승․발전시키는데 주력했으며, 2000년대에는 선군정치를 내세우면서 이에 부응하는 혁명적 무용예술의 발전을 위한 다양한 규모와
형식의 공연을 활발히 전개했다. 한편 당의 무용방침을 구현하기 위해 무용작품은 민족적 형식에 사회주의적 내용을 원칙으로 하면서 작품의 주제와 소재 및 형식에서 다양한 성과물들을 내놓았으며, 무용작품의 형상화는 북한무용의 기본기법의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3차에 걸친 기본기법의 개정이 실시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북한춤은 정책을 구현하는 수단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이는 북한의 이데올로기가 무용예술의 변화와 깊이 관련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목차
2. 북한의 무용이념
3. 시기별 주요 무용방침과 구현작품
4. 기본기법 체계의 변화
5. 결언 및 제언
참고문헌
영상자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