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화성 농악의 음악적 특성과 전승 방향

원문정보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Transmission Direction of Hwasung Nongak

김혜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ongak of the southern Kyunggi is known to have been influenced strongly by Sadangpae(strolling actors). The representative examples are Pyungtaek and Ansung’s Nongak. However, in the rest of the towns, ‘Doore Nongak’, a simpler form’ is transmitted. Nongak of Hwasung area is expected to show the similar aspects. Therefore,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Hwasung Doore Nongak, which is transmitted in towns, and the future transmission direction and its orientation. The following ar the results.
Firstly, in Doore Nongak of Hwasung, the core melodies are in three forms, Gilgarak, Duderae, and Jajingarak. Gilgarak shows structural differences with the Gilgunakchilchae in Kyunggido.
Secondly, although Gilgarak is played differently in towns, there is one universal featur e:they play ‘3232/2332’ example melody and play ‘3232/3332/32/2332’ main melody. The fact that ‘3232/2332’ example form is similar to the structure in Jajingilgarak; that it matches the rear part of the main melody; that ‘2332’ form is the most important melody form in Gilgut which is usedly nation-widely allows us to infer that its use as the example melody is natural and it might be older than the well-known Gilgunakchilchae.
Thirdly, in Hwasung, besides, Gilgarak and Jajingilgarak, Honsobak-style melody is used in Kim Kyungsoo’s Yeoldoobal Sangmogarak, Moodonggarak, and in Cha Jinnam and Song Jaechun’s Duderae end part.
Fourthly, in Doore Nongak of Hwasung, there are a lot of beats which are ‘4 beat with 3 small beats’ such as Duderae, Jajinduderae, Yangsangduderae, Jjanjipaegarak, Samchae, oodongsamchae, Sangbukguchum, Jjukjjigi, and Sangbukgujapshoi, etc. As for Samchae, it
is frequently played beat so there is nothing special to it. However, the fact that various forms are played is considered as the strong point as Doore Nongak.
Fifthly, in Doore Nongak of Hwasung, a lot of ‘4 beats with 2 small beat’ is frequently played. Janjingarak, Umoolgut(Moolgupshoi), and Janjingaraksamchae are such. There are not that many kinds of melodies but the fact that it is played often shows its importance. Jajingarak is the melody which is played faster after playing Duderae and Samchae-style melody and as the speed picks up, the 3 small beat is changed to 2 small beat. In case of other regions, the 3 small beat is maintained even in faster beat. In contrast, in Doore Nongak of Hwasung, the change to 2 small beat is general, allowing it to be armed with faster beat.
Lastly, for the smooth transmission of Hwasung Nongak,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status of Nongak as live music through education in school, club activities of the general public, and the revitalization of Doore Nongak. Unless it stands on its own as live music, its current status as performance art would not be able to allow it to maintain itself. If its status as live music can be expanded, we can expect securing the transmitters and its audiences and more expanded activities of Nongak professionals.

한국어

경기남부의 농악은 사당패 농악에 강하게 영향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대표적인 경우가 평택과 안성의 농악이다. 그러나 이외에 대부분의 마을에서는 ‘두레농악’의소박한 형태로 전승되고 있는 경우가 더 많다. 화성 지역의 농악 역시 이와 유사한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마을에 전승되고 있는 화성 두레농악의 음악적 특성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전승 방향과 지향점을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화성 두레농악에서 가장 핵심적인 가락은 길가락, 더드래, 자진가락의 세 가지 유형이다. 길가락은 경기도의 길군악칠채와 구조적차이를 보인다.
둘째, 길가락은 마을마다 다른 것이 연주되지만 그 가운데 보편성을 띄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은 ‘3232/2332’의 예시가락을 연주한 후 ‘3232/3332/32/2332’의 본가락을 연주하는 형태이다. ‘3232/2332’의 예시형은 자진길가락의 구조와 유사하다는 점, 본가락의 후반부와 일치한다는 점, ‘2332’형은 전국적으로 사용되는 길굿의 가장중요한 가락구조라는 점에서 예시가락으로의 사용이 자연스러울 뿐 아니라 널리 알려진 길군악 칠채보다 더 고형일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화성에는 길가락과 자진길가락 외에도 김경수의 열두발 상모가락과 무동가락, 그리고 차진남과 송재천의 더드래 종결부분에서도 혼소박형 가락이 사용되고 있다.
넷째, 화성 두레농악에는 더드래, 자진더드래, 양산더드래, 짠지패가락, 삼채, 무동삼채, 상벅구춤, 쩍찌기, 상벅구잡쇠 등 3소박 4박형의 장단을 많이 연주하고 있다.
삼채는 전국적으로 흔하게 연주되는 장단이므로 특별한 것은 없으나 다양한 변화형을 연주하고 있는 점은 두레농악으로서의 장점이라 여겨진다.
다섯째, 화성 두레농악에서는 2소박 4박의 장단들도 자주 연주된다. 자진가락, 엎어빼기, 우물굿(물줍쇼), 자진가락삼채 등이 그것인데, 가락의 종류는 많지 않으나 빈번히 연주된다는 점에서 비중이 높다. 자진가락은 더드래나 삼채형 가락을 연주한 후빨라지면서 연주되는 가락들을 이르며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3소박이 2소박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다른 지역의 경우 빠른 장단에서도 3소박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은데, 화성 두레 농악에서는 2소박으로 바뀌는 경우가 일반적이어서 전체적으로 빠른 속도
감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섯째, 화성농악의 원활한 전승을 위해서는 학교를 통한 교육, 일반인의 동아리활동, 마을 두레농악의 활성화 등 생활음악으로서의 농악의 지위를 확고히 다져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생활음악을 기반으로 서지 않는다면 공연예술로서의 농악만으로는유지하기 힘들 것이기 때문이다. 생활음악으로서 농악의 기반이 확대될 수 있다면 전승자와 향유층 확보, 화성농악 전문가들의 활동 확대 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I. 서론
 II. 화성 두레 농악의 음악적 특성
 III. 화성 농악의 전승 · 발전 방향
 IV.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혜정 Kim, Hey-Jung. 경인교대 음악교육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