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 이주문학

중국 당대 조선족의 현실 수용의 방식과 그 의미 - 황봉룡의 희곡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way in which Korean Chinese accepted their reality at that time and the of significance of that way: with focus on HwanBong-ryong's Drama

차희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focuses on noticeable active assimilation to reality and adaptive attitude among Korean Chinese portrayed in drama by Bong-ryong Hwang and examines the inherent ultimate intentions and objectives. Specifically, it is to find the significance of the way in which Korean Chinese recognized and accepted their reality; it is also associated with subjects and identity of Korean Chinese living in China as the minorities. This study examines life of Korean living in Manchuria who emigrated to northeastern part of China and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attached to life of Korean Chinese after the foundation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observes and analyzes Korean Chinese's assimilation and adaptation to their reality in terms of the society and history; and lastly, defines the significance of the way in which Korean Chinese accepted their reality. The study result shows that Korean Chinese, during the convulsion of the time, pretended they supported the government system and assimilation policy; however they shared the memories of the past, maintained the experience of immersion and found their best qualities to live life in China autonomously.

한국어

본고는 황봉룡의 희곡에서 두드러지는 조선족의 적극적 현실 동화와 순응의 태도에 주목 하고 그것에 내재된 궁극적 의도와 목적이 무엇인가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중국조선족의 현실 인식과 수용의 방식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찾는 것인데 이는 소수민족으로서 중국에서 살아가는 조선족의 주체 구성과 정체성의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 연구는 중국 동북지역으로 이주한 재만조선인의 삶과 중화인민공화국 건립 이후 조선족의 삶에 습합된 불평등과 차별의 모습을 살펴본 후에 그 과정에서 당대 조선족이 중국의 사회 역사적 현실에 동화, 순응하는 양상을 좇아가며 그들의 현실 인식과 수용의 방식을 관찰, 분석하고 최종적으로는 조선족의 현실 수용 방식이 담지한 의미를 구명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조선족이 중국 당대의 격변적인 환경 속에서 겉으로는 체제를 찬양하고 그들의 동화주의 정책에 적극적으로 호응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과거의 기억을 공유하는 것을 통해서, 몰입의 경험을 지속하여 최고의 자신을 발견하는 것을 통해서 주체적으로 중국 당대 현실을 살아가려고 했음을 확인하였다.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조선인 이주와 조선족의 탄생 : 훼절된 자아, 은폐된 불평등
 3. 현실 수용의 방식 : 의도된 동화와 순응
  1) 항일 기억의 공유를 통한 주체의 회복
  2) 체제 찬양의 몰입(flow)을 통한 목표 재설정
 4. 통합 지향의 이주민 의식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차희정 Cha, Hee-Jeong. 아주대 이주문화연구센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