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해화학물질 노출 근로자의 대사증후군 발생위험에 대한 epinephrine과 norepinephrine의 영향

원문정보

Influence of Epinephrine and Norepinephrine on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Occurrence in Workers Exposed to Hazardous Chemicals

허경화, 김기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larify effects of long term, low-level monocyclic aromatic hydrocarbons exposure (MAHs) such as styrene, toluene and xylene on physiological levels of epinephrine (EP) and norepinephrine (NEP) and these hormones influences diagnosis indices of metabolic syndrome (MetS). Methods: Blood pressure and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were measured using digital sphygmomanometer and autochemical analyzer. EP and NEP were analyzed by using ELISA kit and exposure level of MAHs was measured by NIOSH method. Results: The differences of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smoking and drinking habits in both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xcept working hours per day. In exposed workers, exposure levels of MAHs showed very low concentrations. Serum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xposed group, but concentration of NE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ntrol group. 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the diagnosis indices of MetS, EP was WC (OR= 0.970), NEP was blood pressure (OR=1.002) and MAHs exposu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DL-cholesterol (OR=0.257), fasting glucose (OR=3.028) and MetS (OR=0.372).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hronic exposure of low level MAHs maycontribute to glucose metabolism and induction of MetS. And also, changes of EP and NEP levels by exposure of MAHs affect blood pressure.

한국어

목적: 이 연구는 스티렌, 톨루엔 및 크실렌과 같은 단일벤젠고리 방향족탄화수소의 저농도 만성적 노출이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생리적 농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호르몬이 대사증후군 진단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 등과 같은 인체계측 인자들은 인체계측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압과 혈청생화학 인자들의 분석은 자동혈압계와 자동생화학분석기기로 각각 측정하였다.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은 ELISA ki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대사증후군은 NCEP-ATP III(아시아-태평양 기준) 기준에 근거하여 진단하였다. 단일벤젠고리 탄화수소의 노출농도는 NIOSH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1일 작업시간을 제외하고는 나이, 흡연 및 음주습관 등과 같은 일반적 특성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노출군 근로자들에서 단일벤젠고리 탄화수소의 노출수준은 매우 낮은 농도를 보였다. 혈청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노출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노르에피네프린의 농도는 노출군보다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대사증후군 진단지표에 대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에피네프린은 허리둘레(교차비=0.970), 노르에피네프린은 혈압(교차비=1.002), 단일벤젠고리 탄화수소 노출은 HDL-콜레스테롤(교차비=0.272), 공복혈당(교차비=3.021), 대사증후군(교차비=0.384)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저농도 단일벤젠고리 탄화수소의 만성적인 노출이 대사증후군의 유발과 당 대사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단일벤젠고리 탄화수소 노출에 의한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의 농도 변화는 혈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도구 및 분석방법
  3.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노출군 대상자의 유해화학물질 노출농도
  3. 대사증후군 진단지표, epinephrine 및 norepinephrine 수준 비교
  4. 유해화학물질의 노출농도와 EP 및 NEP의 상관관계 및 대사증후군 진단지표와의 관련성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허경화 Heo, Kyung-Hwa.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김기웅 Kim, Ki-Woong.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