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 Review of the Korea Energy Diplomacy in Central Asia : Focusing on the Major Tasks and Perspectives

원문정보

한국의 대중앙아시아 에너지외교의 과제와 전망에 대한 고찰

Yun, Yeong-Mi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in aim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ategic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energy diplomacy with Central Asia, which has emerged as a major target for Korea’s diplomacy policy in an era characterized by rising oil prices.
Central Asia is the first region dedicated to enhancing resources diplomacy. Since the breakup of the former Soviet Union in 1991, relatively stable political structures have been maintained in the region, thanks to the introduction of democracy and a free market economy. Estimated as having the world’s third largest oil and gas deposits, it is emerging as a new market characterized by sustainable economic growth and the influx of oil dollars. In this regard, the region has the great potential in terms of the value and achievement of bilateral and packaged strategy in which Korea imports resources while handing down its technologies such as IT, construction, transportation and logistics, and its experience of growth. It also accompanies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twork of able human resources. The recent biggest achievement of this resources diplomacy with Central Asia is the various fruitful instances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the Central Asian region in addition to the signing of seven MOU deals, including a contract with Kazakhstan for a stake in Kazakhstan’s Zhambyl marine mining lot(1 billion barrels of estimated deposits), a contract with Uzbek and Kazakhstan for the long-term Uranium introduction, and an A Review of the Korea Energy Diplomacy in Central Asia : Focusing on the Major Tasks and Perspectives . 39 agreement with Turkmenistan for cooperation in the electric power sector and energy R&D.
To address the diversification of energy resources suppliers in Central Asia, Russia, Africa and South America, in addition to the Middle Eastern region, and the development of foreign oil
fields is not only the most critical and practical alternative but also an axis of resources diplomacy in the mid to long term. At the same time, as spiraling high oil prices continue and with the further intensification of resources nationalism, urgent matters such as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energy sources to oil resources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state-run energy
company into large-scale globalized state-run oil companies should be addressed at the level of national strategy.

한국어

이 논문은 신고유가 시대 한국의 에너지자원외교의 주요 대상지역으로 부상한 중앙아시아의 전략적 특성과 성과를 분석해보고 국가전략 차원에서의 자원외교의 주요 과제를 검토해 봄에 있다. 현재의 유가상승은 석유생산의 감소 및 고갈 가능성과 관련 에너지시장의 구조적 문제와 군사안보적 문제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인 특성을 드러낸다. 이에 실용정부의 출범이후 해외 및 신규 에너지자원 확보 및 개발 외교에 주력하고 있다. 그 첫 번째 자원외교 대상은 중앙아시아(Central Asia)지역으로 세계 3대 원유 및 가스매장지로 1991년 구소련연방에서 독립 이후 민주주의와 자유시장 경제 도입으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정치경제적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자원을 수입하고 IT·건설·교통·물류 등의 기술과 성장 경험을 전수해주는 쌍방향.패키지 전략의 가치와 성과가 큰 지역으로 공적개발원조(ODA) 지원 및 인적 네트워크 구축도 병행되고 있다. 최근 정부의 대중앙아시아 자원외교의 주요 성과는 석유 10억 배럴 규모의 카자흐스탄 잠빌해상광구의 지분 양수도 계약체결,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에서 우라늄 장기도입 계약 체결을 포함해, 투르크메니스탄에서는 전력분야 협력, 에너지 연구개발 등 협력 건 성사 외에 다양한 경제협력이 강화되었다.
한국은 에너지자원 공급국의 안정적인 수급에 전적으로 의존해야하며, 수급의 불안정에 따른 국제시장 교란 요인 및 고유가에 항상 대비해야하는 대외적 민감성이 큰 나라다. 중동지역 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 아프리카 및 중남미 등 중장기적 차원에서 다양한 공급원 확보와 해외 유전개발은 가장 중요한 현실적 대안이자 자원외교의 중심축이다. 동시에 유가 상승과 신자원민족주의 추세가 강화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석유 대체에너지 개발, 국내 국영에너지기업의 글로벌화된 대형 국영석유회사의 설립의 급선무 등은 국가전략 차원에서 달성되어야 한다.

목차


 I. Introduction
 II. Presents of Global Oil Production
 Ⅲ Major Results of Korea’s Energy Diplomacy in Central Asia
 Ⅳ. Major Perspectives and Tasks of Mid andLong Term Energy Diplomacy
 V. Conclusion
 
 국문요약

저자정보

  • Yun, Yeong-Mi Professor, Pyeongtaek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