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쁘리바이칼 지역의 신석기문화

원문정보

Neolithic Cultures in Baikal Region

정석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haracteristic of Neolithic cultures in Baikal region is pottery with spherical bottom. It’s very special if it is remembered that in Neolith of Amur region in the east all vessels were flat-bottomed. In view of this fact, earlier there was an intended theory that the Neolithic pottery with pectinate ornamental pattern in Korean peninsula descends from Serovo culture of Baikal region. But now this supposition doesn’t advance because of differences in chronology and elements of vessels. In spite of this, we have to study the archaeology of Baikal region to understand the Korean archaeology in relation to Northern Eurasia.
A. P. Okladnikov divided prae-historical cultures in Baikal region into late Paleolithic (Mesolithic), early Neolithic (Chin stage), Isakovo stage, Serovo stage, Kitoi stage, Glazkovo stage and Shivera stage and dated them so: Isakovo stage IV millennium B.C., Serovo stage III millenium B.C., Kitoi stage the latter half of III millennium B.C to the beginning of II millenium B.C. Thus, he supposed that on that territory the Neolithic
cultures replaced in series: Isakovo, Serovo, Kitoi cultures.
However, recently thanks to accumulation of absolute dates is offered the other series, namely Kitoi, Isakovo, Serovo. Besides, the Kitoi culture coexisted with the latest Serovo culture. The
absolute dates determine otherwise for Kitoi culture, from VII millennium B.C. to the beginning of II millennium B.C., Isakovo culture, from the beginning of VI millennium B.C. to the first half of V millennium B.C, Serovo culture, from the latter half of V millenium B.C. to II millennium B.C.
The Neolithic cultures of Baikal region differ neatly, e.g. for Kitoi culture are characteristic adzes from green jade, composite fish hooks in the form of little shanks with fungi form end, bone
harpoons having a hole to joint it to the shaft, bone antroph-amorphous images, use of ochre in graves; for Isakovo culture . egg-shaped vessels, stone tools from dark-grey slate, composite spears and knifes from plates and bone; for Serovo culture . stones put over the grave in the shape of a ring, composite spears, bows, arrow-heads, harpoons, stone imaged of fish and others.
Suppositions and results of ethnographic studies of A. P. Okladnikov about methods of production or destination of artifacts (e. g., manufacture of Isakovo vessels in frame of a pit, utilization of fish images as a bate in Serovo culture, utilization of little vessels with "ears" for smoke puffing to scare away insects) help us to understand destination of artifacts from other regions, too.
Although the questions of correlation of Baikal region and the Korean peninsula aren't solved, some analogical elements and the content of the Neolithic cultures suffice to attract our attention.

한국어

쁘리바이칼 지역의 신석기문화는 원저 토기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동쪽의 아무르 강 유역의 신석기문화에는 토기가 모두 평저인 점을 감안하면 이는 매우 특징적인 현상이라 하겠다. 이와 관련하여 한 때 한반도의 신석기시대 빗살무늬토기의 기원지로 쁘리바이칼 지역의 세로보 문화가 지목되기도 하였으나, 지금은 연대의 차이, 토기에 보이는 여러 요소들의 차이 등에 의해 더 이상 주장되어지지 않는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쁘리바이칼 지역의 고고학은 한반도의 고고학을 북방유라시아대륙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기 위해 그 연구가 반드시 필요한 지역이라 하겠다.
일찍이 A. P. 오끌라드니꼬프는 쁘리바이칼 지역의 선사문화를 후기 구석기시대(중석기시대), 이른 신석기시대(힌스끼 단계), 이사꼬보 단계, 세로보 단계, 끼또이 단계, 글라스꼬보 단계, 쉬베라 단계로 나누고, 이사꼬보 단계는 기원전 4천년기, 세로보 단계는 기원전 3천년기, 끼또이 단계는 기원전 3천년기 후반~기원전 2천년기초로 각각 편년하여, 이 지역의 신석기문화가 이사꼬보, 세로보, 끼또이 순서로 변화해 나가는 것으로 파악한 바 있다.
하지만 오늘날 절대연대 자료의 축적과 함께 쁘리바이칼 지역의 신석기문화는 끼또이, 이사꼬보, 세로보라는 순서로 변화한 것으로, 또한 끼또이 문화는 가장 늦은 세로보 단계까지 공존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절대연대도 끼또이 문화는 기원전 7천년기 후반~기원전 2천년기 초, 이사꼬보 문화는 기원전 6천년기 초~기원전 5천년기 전반, 세로보 문화는 기원전 5천년기 후반~기원전 2천년기로 각 편년되고 있는 실정이다.
쁘리바이칼 지역의 신석기문화들은 서로 구분되는 뚜렷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예를 들어, 끼또이 문화는 녹옥으로 만든 마제석부, 청람석 혹은 점판암질 편암으로 만든 양 끝이 버섯 모양으로 되어 있는 결합식 낚시바늘 끈을 연결하는 부위에 구멍을 내놓은 , 골제 작살, 골제 인물형 표현물, 무덤에 보이는 붉은 색은 황토 등이, 이사꼬보 문화는 장란형 혹은 포탄형에 가까운 토기, 암회색의 편암으로 만든 석기류, 석인과 뼈를 결합하여 만든 결합식 창과 칼 등이, 세로보 문화에는 무덤의 위를 고리 모양으로 판석으로 덮은 점, 석인 결합식 창, 활, 화살촉, 작살, 물고기 모형 등이 각각 특징적이었다.
유물들의 제작방법 혹은 기능에 대한 A. P. 오끌라드니꼬프의 추론과 민족지적 연구 결과들, 예를 들어, 이사꼬보 문화의 토기는 땅을 파서 만든 틀에서 만들었을 것이라는, 세로보 문화의 물고기 모형은 어로에서 미끼로 사용되었을 것이라는, ‘귀’가 달린 토기 중에서 작은 것들은 연기를 피워 해충을 쫒는 데 사용되었을 것이라는 등의 의견은 다른 지역에서 출토되는 유물들의 기능 추정에도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
쁘리바이칼 지역의 신석기문화들은, 비록 쁘리바이칼 지역과 한반도의 관련성 문제가 아직 구명될 수 없다하더라도, 몇몇 유사한 문화요소들과 쁘리바이칼 지역 신석기문화들의 내용 그 자체로 인해, 우리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할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끼또이 문화
 Ⅲ. 이사꼬보 문화
 Ⅳ. 세로보 문화
 Ⅴ. 맺음말
 <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석배 Jung, Suk-Bae. 한국전통 문화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