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Korean Roots for the ‘Nasori ’ Puzzle

원문정보

納曾利 퍼즐조각 찾기 나소리 무대도구의 의미에 관하여

Seo, Jung-Rock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is animated by a curiosity about ancient Korean dance features. Ch 'oyongmu is the only Korean court dance transmitted from the ancient period. Through investigating it, we may define more properly its features. Owing to the ethereal. nature of performing, it is most important to look for a comparable dance. When we look at the Japanese court, the majority of Korean dances from the ancient period still exist today. These dances can serve as a model of comparison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Korean dances. Therefore, when we are able to sketch an outline of the transmission of Ch 'oyongmu while also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urt dances from each of these two countries, i.e. by showing the origin of some Japanese dances to find a comparable dance, we can shed light on the features of ancient Korean dance. Ch 'oyongmu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demands of the times, as its character adapted to the dominant forces of the titre, such as Korean shamanism in Silla, Buddhism in Koryo and Confucianism in Choson. On the other hand, Nasori, that is, a blue dragon dance, i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The movement is reminiscent of Ch 'oyongmu. When we compare both dances, we can discemancient Korean form; and features. In this respect, it is dissimilar to togaku, although it is of note that the origins and the meanings of a majority of the kanagaku repertoire in Japan remain obscure and Nasori is no exception to this observation. the inquiry of Nasori, offers the 'Korean flute', 'Dragon' and 'Wave'as symbols of the dance, inferred through the existence of a Korean tale, the Flute That Calms Raging Waves which is linked to Ch 'oyongmu. It shows ancient Korean and Japanese court dances as being linked inseparably; hence, to find the meaning of Japanese court dances, the research of Korean dances is essential and indeed visa versa.

한국어

본 연구는 고대 한국 춤의 특징들을 알아보고자 시작되었다. 문헌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고대부터 전해오는 춤은 현재 處容舞이외에는 없으며, 주지하듯이 ‘處容’에 관해서는 현재까지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연구 중 舞踊學的 접근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며, 그나마도 대부분 조선시대 이후에 그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더구나 여러 역사 문헌들은 處容舞가 전래되어 오면서 춤사위를 비롯한 여러 점들에 변화가 있었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고대 한국 춤의 특징을 추정하는데 難点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고대 한국 춤의 특징을 파약하기 위해서 處容舞와 비교 가능한 고대춤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한국에는 處容舞이외에 고대에 서부터 전래되어오는 춤은 존재하지 않는다. 일본의 경우를 살펴보면 삼국시대 무수한 문물들이 일본에 전래되었으며 이때 춤을 포함한 공연예술도 전래되었다. 주목할 점은 이 당시 일본에 전래된 춤들이 일본의 궁중에서 오늘날까지 전하여져 오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일본 궁중에는 唐樂과 함께 高麗樂이 있다. 高麗樂중 특히 나소리(納曾利)는 주목할 만한 작품이라 생각된다. 靑龍이 노는 모습을 형상화한 納曾利의 動作들은 이혜구도 지적하였듯이 處容舞를 연상하게 한다. 그러므로 納曾利와 處容舞를 비교한다면 어쩌면 고대 한국춤의 특징들을 추정해 볼 수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高麗樂들은 그 유래와 의미가 모호하며, 이점은 納曾利도 예외가 아니다. 그러므로 이 춤의 유래를 파악하는 것이 두 춤을 비교하기 전에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우선, ‘納曾利’ 제목의 뜻과 納曾利에 등장하는 舞具인 은색 막대(銀色の桴)에 대한 불분명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納曾利는 平安時代에 ‘나무소리 (ナ ムソリ)’로 불리었음을 일본 고대 樂書인 『敎訓抄』의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 한국 고대어 중 ‘namu’ 혹은 ‘nami’는 ‘內米’로 기록되며 그 의미는 ‘파도’이다. 또한 納曾利舞具에 대한 의미는 18세기 기록인 『東槎日記』에서 그것이 ‘籥’이라 밝히고 있다. 일반적인 생각에 ‘籥’은 중국에서 기원한 구멍이 3개인 관악기이다. 그러나 『倭名類聚抄』와 『和漢三才圖會』에 의하면, ‘籥’은 구멍이 6개인 高麗笛를 밝히고 있다. 그러므로 納曾利舞具는 高麗館일 가능성이 있다. 흥미로운 사실은 ‘龍과 ‘파도’ 그리고 ‘高麗笛’의 관계이다. 이 관계를 보고 있노라면 『三國遺事』에 기록된 萬波息笛 설화가 떠오른다. 處容舞와 비교 가능한 고대 춤을 찾기 위해, 아주 간략하게 納曾利의 제목과 무대 도구를 중심으로 그 유래와 의미를 살펴보았다. 納曾利라는 이름은 ‘파도’와 관련이 있어 보이며, 막대의 의미는 ‘高麗笛’을 의미하며 이것은 신라의 전설인 萬波息笛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 전설은 處容舞와도 맞닿아 있는 부분이 있으며, 納曾利 또한 處容舞처럼 冬至에 공연되었다는 사실에서 두 춤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어 보인다.

목차

References
 Primary sources
 Secondary Sources
 [간략번역문]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Seo, Jung-Rock 서정록. SOAS University of London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