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통주의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고창 복분자 축제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Selection Attributes of the Korean Traditional Liquor -Focused on Gochang Bokbunja Festival-

조민호, 양은주

초록

영어

In this study, efforts were made to find out select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by tourists on the basis of studies on selection attributes of existing liquor and also to find out whether those selection attributes undergo certain chang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ts. As factors for select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by tourists, four factors have been singled out: ‘recognition of Bokbunja wine’ factor, ‘characteristics of Bokbunja wine’ factor, ‘information of Bokbunja wine’ factor, and ‘brand value of Bokbunja wine’ factor. At the same time, it was found out that there was a parti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selection attributes factor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depending on populatio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and tourist behavior characteristics. In populatio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age and average monthly income reveal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brand value of Bokbunja’ factor, and place of residence reveal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information of Bokbunja wine’ factor. In tourist behavior characteristics, number of visits reveal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information of Bokbunja’ factor and ‘brand value of Bokbunja’ factor. And recognition before visit and visit partner reveal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brand value of Bokbunja wine’ factor. This study derived unique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from selection attributes of existing liquor. As a result of an empirical survey conducted in the 3rd Gochang Bokbunja Festival, it proved it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uncovered decisive factors affecting tourists' selection of traditional liquor, providing useful reference data for local festival marketers. What we need in the future would be the kind of studies that inform Bokbunja wine, Korea’ traditional liquor, to the world, develop a tourist commodity centered on traditional liquor like the wine tour of France, thu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a tourist industry.

한국어

본 연구는 기존의 주류 선택속성 연구를 바탕으로 관광객의 전통주의 선택속성을
찾고, 관광객의 특성에 따라 전통주의 선택속성이 달라지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관광객의 전통주의 선택속성요인으로서 ‘복분자주 인식’ 요인, ‘복분자주 특성’ 요 인, ‘복분자주 정보’ 요인, ‘복분자주 브랜드 가치’ 요인의 네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또한, 관광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관광행태적 특성에 따른 전통주의 선택속성 요 인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는 연 령, 월평균소득은 ‘복분자주 브랜드 가치’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거주지에 서는 ‘복분자주 정보’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관광행태적 특성에서는 방문 횟수는 ‘복분자주 정보’ 요인, ‘복분자주 브랜드 가치’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 고, 방문전 인식과 방문동반자에서는 ‘복분자주 브랜드 가치’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주류 선택속성으로부터 전통주의 고유한 속성을 도출하였으며, 제 3회 고창 복분자 축제에서 실증조사 한 결과, 관광객이 전통주를 선택하는데 영향 을 미치는 결정 요인을 밝혀냄으로써 지역축제 마케터에게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향후에는 우리의 전통주인 복분자주를 세계적으로 알리고, 프랑스의 와인 관광과 같은 전통주를 중심으로 한 관광 상품을 개발하여, 관광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I. 서 론
 II. 문헌 고찰
  1. 전통주
  2. 지역축제와 전통주
  3. 전통주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III. 연구 방법
  1. 표본의 추출
  2. 변수 추출 및 측정방법
  3. 설문지의 구성
 IV. 결과분석
  1. 인구통계학적 특성
  2. 관광행태적 특성
  3. 요인분석
  4. 요인간 차이분석
 V.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조민호 Cho, Min-Ho. 한양대학교 관광학부 교수
  • 양은주 Yang, Eun-Ju. 한양대학교 대학원 관광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