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무용전공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차이비교

원문정보

The Comparis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Dance majors

추혜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본 연구는 무용전공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에 대한 차이를 비교 하여 규명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별된 무용전공자와 비전공자간의 심리적 행복감 과 무용전공별로 본 심리적 행복감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실제 분석에 사용 된 자료에서 무용전공 여대생 141 명과 비 무용전공 여대생 135 명 총 276 명이다. 구체적인 사항은 발레전공 32 명, 현대무용전공 57 명, 한국무용전공 52 명 등이 임의 표집을 실시하였다. 무용 전공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조사대상에게 배포한 다음 자기 평가 기입법으로 설문지를 완성토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 비전공간에 심리적 행복감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고, 무용 전공 분야별에 따라 심리적 행복감에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 (one-way ANOVA) 을 실시하였으며, 무용 활동 참가 선호유형간의 심리적 행복감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일원변량 분석결과 차이가 있을 경우 Tukey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무용 전공에 따른 심리적 행복감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무용전공자들은 비전공자들보다 심리적 행복감이 높다. 둘째, 무용전공분야 중 발레가 심리적 행복감영역 중 몰입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무 집단이 군무집단보다 심리적 행복감이 높다. 무용 활동은 현재 우리 인간의 삶에 있어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는 정신적 건강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겠다. 무용의 심리학적 가치를 효과적으로 학습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체계화 된 무용 활동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인간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어졌으면 하는 기대와 더불어 향 후 심리적 행복에 대한 하위변인을 보다 폭넓고 세분화된 변인으로 선정하는 더욱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목차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문제
 2. 연구 방법
  2.1 연구 대상 및 표집
  2.2 조사 도구
  2.3 조사절차 및 자료처리
 3. 결과 및 논의
  3.1 결 과
  3.2 논 의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추혜연 Choo, Hey-Yeon. 한양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