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춤의 어원에 관한 연구 - 유(遊)와 축(祝)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Etymological Meaning of Korea dance through Yu(遊), Cuk(祝)

김운미, 이찬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roject exammes an Etymological Meaning of Korea dan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how character in Jiauwen, helps us understand the aesthetic values and traditional world view of Koreans as expressed in their dance. Drawing from and extending upon the theories of Byoung-Ok Lee (1993), Bung-Ho Jung (2004), Su-Bam Sung (1988), Sa-Hun Jung (1977), this dissertation is the first to take a an Etymological Meaning of Korea dance approach to analyze Korean dance specifically in order to understand its own inner system and social-cultural meaning. These concepts are reflected in the uniqueness of the life and ideology of ancient society. In this study, I've selected and studied Yu, (遊, play), Cuk(祝, pray) among the Character in Jiauwen that ancient Korean people used, under the topic of etymology of Korean dance. The reason for regarding Yu,(遊, play) as an etymology is that l)ja(子, son), a successor of a position, is an honorable title of a priest, 2)hag(行, go) of human and nature is a walking footstep, 3)Yu,(遊, play), with a clean conscience, is a free movement. The reason for regarding Cuk(祝, pray) as an etymology is that 1) e (二, two) is a prayer for an ideal world, 2) an acquisition of transcendental energy through the sun, moon and stars and 3)Cuk(祝, pray) is the maintenance and unity of a community.

한국어

한국춤은 한국인들의 삶이 농축된 대표적 문화예술이고 이러한 춤의 근원을 찾기 위해서는 우리의 문화권내에 있는 상징적 메시지인 유물, 유적 등의 실증자료와 문헌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고대로 올라갈수록 지형학적으로 순우리말과 한자(漢字)말을 함께 쓰는 한자 문화권에 속해 있었던 우리나라의 경우, 그때의 춤이 어떤 욕구와 동기로부터 비롯되었는가는 우선 문헌에 나타난 기호, 즉 한자의 시원을 통해서 파 악할 수 있다. 따라서 고도의 상징성을 지니고 인간 내적 과정을 표출하는 기호, 즉 문자의 시원을 통해 한국춤의 기원과 성격을 가늠해보고자 문화인류학 과 사고학적 관점에서 고대 한민족이 사용했던 문자 중 유(遊) , 축(祝)을 선정하여 연구하였다. 이는 춤과 무(舞) , 무(巫)의 어원과 그 관련성으로 가늠 했던 그동안 연구에서 한걸음 나아가 한국춤의 근원적 성격을 재검증하고 확 대 해석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고자 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遊)에서 자(子)는 직위의 계승자로 제사장의 존칭이며 행(行)은 인간이 자연과 함께하는 발자취로 마음 가는대로 가는 즉흥적인 움직임을 형상화한 문자이다. 둘째, 축(祝)은 시(示) 즉 이(二)와 소(小) , 그리고 형(兄)이 결합된 자이 다. 하늘을 뜻하는 이(二)는 이상 세계에 대한 기원이며 소(小)는 해(日) 달 (月) 별(星)을 의미한다. 또한 형(兄)은 춤추는 사람을 의미하면서 공동체적 춤의 축제인 판문화의 성격인 초월적 에너지획득을 통한 즉 공동체 사회의 유지와 결속을 형상화시킨 문자로 한국춤의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

목차

1. 서 론
 2. 한국 춤의 개관
 3. 유(遊)
  3.1 직위의 계승자 자(子)는 제사장의 존칭
  3.2 인간과 자연에 대한 행(行)은 걷는 발자취
  3.3 마음 가는 대로 유(遊)의 자유로운 움직임
 4. 축(祝)
  4.1 이(二)는 이상세계에 대한 기원
  4.2 해(日) 달(月) 별(星)을 통한 초월적 에너지 획득
  4.3 축(祝)은 공동체 사회의 유지와 결속
 5. 결 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 김운미 Kim, Un-Mi. 한양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 이찬주 Lee, Chan-Joo. 한양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