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글로벌 시대의 한국무용

원문정보

The Korean Dance in the Global Society

松原孝俊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iachronically discuss how the Japanese has enjoyed the Korean dance for about 400 years,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present,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the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In other words, limiting the scope to the Japanese, the thesis will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perspective of Korea and the Korean dance. And finally, the author of the article would like to express her expectation on the Korean dance in the global society. In order to argue it, approximately 400 years have been divided into four periods and each conclusion below has been derived. Here, the 17th century is considered as the starting point because the period has the oldest record, as long as the author knows. 1) The Korean dance from the Japanese perspective: the Joseon Dynasty era - the period when the exchange between Japan and Korea was limited to the part of the Japanese (Tsushirm Island) → Point: diplomacy and soft power: the superiority of the Korean dance (sophisticated artistry) to the Japanese who knew nothing else than "Bongodori" 2) The Korean dance from the Japanese perspectiv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when Japan colonized Korea and scores of the Japanese invaded the Korean peninsula → Point: 1, Post card; and exoticism 2, "Joseon" that was "discovered" in Japan during the second world war 3) The Korean dance from the Japanese perspective: the period when the Japanese's visit to Korea was strictly prohibited between 1945 and 1965. → Point: 1, the cultural activities of Koreans in Japan (mainly Jochongnyeon) 2, the Joseon folk art done by Koreans in Japan for Koreans in Japan works confirming their identity 4) The Korean dance from the Japanese perspective: 1965 2000 - the period when the door to the Japanese visitors to Korea was entirely opened → Point: 1, tourism and the Korean dance: "Looking for the original form;" from the ancient times and the performances in "the folk village that is the most backward in development" 2, the purpose of the Japanese' visit to Korea The arguement of the thesis can be put in to the following order. In East Asia in the late 20th century, the state of cultural affairs was concentrating efforts on building up walls to each other by using news censorship, limiting the imports of music and movie and mobilizing the mass media. In order to pursue the modernization of the industries impoverished by war and the society, it was aimed to establish the national identity, and therefore, "indoctrination of culture" was necessary. Especially in order to penetrate the nation's political ideology, every type of culture was brought into play. In other words, it was the late 20th century when the pure culture of the national culture was eagerly des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identity and for the political purpose.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17세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약 400년간 일본인이 어떻게 한국무용을 관람하였는지에 대해 한일교류사의 관점에서 통시적으로 논하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일본인으로 범위를 한정해, 일본인의 한국에 대한 시선과 한국무용과의 관계를 고찰하려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글로벌 시대의 한국무용에 거는 필자의 기대를 피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가 알고 있는 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 남아있는 17세기를 시발점으로 하여 약 400년간을 4기로 나누어 각각 아래 결론을 도출하고 있다. 1) 일본인이 본 한국무용 : 조선왕조시대 - 일본인과 한국인의 교류가 일부 일본인 (대마도)에게 한정된 시기 • Point : 외교와 Soft Power: 「봉오도리」 밖에 모르던 일본인(대마도인)에 대한 한국 무용의 우월성(세련된 예술성) 2) 일본인이 본 한국무용 : 일제 강점기 - 일본이 한반도를 식민지화하여 대량의 일본인이 한반도를 침략한 시기 • Point : 1 그림엽서와 Exoticism 2 제2차대전 당시 일본에서 「발견」된 「조선」 3) 일본인이 본 한국무용 : 1945년 ~ 1965년 일본인의 한반도방문이 엄격하게 제한된 시기 • Point : 1 재일 Korean(주로 조총련)의 문화 활동 2 재일 Korean에 의한, 재일 Korean을 위한 조선 민속 예능 - Identity 확인 작업 4) 일본인이 본 한국무용 1965~2000년 - 일본인의 한반도 방문이 전면적으로 개방된 시기 • Point : 1 Tourism과 한국 무용 : 고대로의 「원형찾기」와 「가장 개발에 뒤쳐진 민속촌」에서의 공연 2 일본인의 한국 여행 목적 이제까지의 필자의 논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0세기 말 동아시아의 문화 상황은 정부의 강력한 리더쉽을 바탕으로 국민국가 형성하기 위해서 보도관계나 음악 • 영화 등의 수입 제한과 매스컴 등을 동원하여 서로 완고한 벽을 만드는데 노력을 경주해 왔다. 전쟁에 의해서 피폐한 산업이나 사회적 근대화를 추구할 때, 국민적 아이덴티티의 확립을 지향하였고 이로서 국민에 대한 「문화의 주입」을 필요로 했다. 특히 국가의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침투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도 각종 문화가 동원되었다. 바꾸어 말하면, 국가적 아이덴티티 구축과 국가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자민족문화의 순수배양을 열망했던 시기가 20세기 후반이었다.

목차

I. 서론
 제 1 부 민족 무용이란 무엇인가? 
 제 2 부 
  제 1 절 일본인이 본 한국 무용(조선 광조 시대편)
  제 2 절 일본인이 본 한국무용(1910년-1945년)
  제 3 절 일본인이 본 한국 무용 : 1945년 -1965년
  제 4 절 일본인이 본 한국 무용 : 1965년부터 2000년
 제 3 부 글로벌 시대에 있어서의 한국 무용에의 기대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松原孝俊 Matsubara Takatoshi. 일본 규슈대 한국연구센터 전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