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불교무용의 기원

원문정보

Origin of Buddhist Dance

김종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uddhism, in general, prohibits songs and dances according to ś�īla (戒 rules) and vinaya (律 disciplines). However, the religious significance and educational functions are well explained in many sutras. In principle, the Buddha prohibited songs and dances. If practicing monks are into the secular pleasures, they are apt to forget the original purpose of practice. That's the reason why the Buddha has a negative view of songs and dances. However, the Buddha also expresses a positive view of songs and dances. If ordinary people perform songs and dances for the ritual service with their heart, it will help to the path to the Buddhahood. The origin of the Buddhist dance is derived from joy and elation that was caused by deep faith. Accordingly, the dance in Buddhism is a performing expression of religious faith. So it can be developed into ritual dance that could enhance our faith. There are many theories in the origin of Buddhist dance, i.e, the theory of Indian dance, the theory of Indian offering, the assembly at Grdhrakuta Mountain (靈山會上) theory, the five studies of India (五明 pa.ca-vidyā) theory, and esoteric Buddhism (密敎) theory. In South Indian temples, dances were always performed in worship services and we find offering dances depicted the sculptures of Buddhist temples. Also we can suppose that Hindu worship rituals and offering services gradually developed into an artistic Buddhist dance. In the assembly at Grdhrakuta Mountain theory, after hearing the sermon of the Buddha, the rejoicing masses and Gadgadasvara (妙音菩薩 Wonderful sound Bodhisattva) praised the Buddha by offering flowers and incense and playing songs and dances. This elated scene seemed to have been sublimated (sublimed) in art. As Buddhist dance has been transmitted mainly through Yeongsan-jae (靈山齋 Grdhrakuta mountain ceremony; the seven times seven days of funeral services; the forty-ninth day), the Grdhrakuta Mountain theory is very plausible. It can be said that the Buddhist dance, Bara-chum (Cymbals Dance) is based on the five studies of India (五明 pa.ca-vidyā) theory because the term such as śzabda (聲明, grammar and composition), hetu (因明, logic) and adhyātma (內明, philosophy) are mentioned directly in Bara-chum (Cymbals Dance). Next, esoteric Buddhism theory has greatly influenced Buddhist dance, as we can see Bara-chum (Cymbals Dance) mostly consists of dhāraṇzī and mantra. For example, when Omnam Dharma-making of Nabi-chum (Butterfly Dance) is performed, chattering is done with mantras. However, when and where this kind of Dharma-making performance was made and transmitted is unknown. The fact that this kin! d of performance has been transmitted by word of mouth from teacher to student. So we need more study about this lineage transmission. The development of Buddhist dance can be traced back to the historical fact that dancers were trained in Indian temples and we can find sculptures of dancers in temples. In addition to those, through the body language of Kadacali and the mudra used in Yeongsan-jae (靈 山齋), we can see the character of Buddhist dance. In China, in such painting as 'The Chart of eavenly Instrument (天宮伎樂圖), pictures of bodhisattvas playing instruments and dancing might have influenced Nabi-chum (Butterfly Dance). In Tibet, we can find the traits of Buddhist dance in the propagation dramas which encourage good and deflect evil. Traditionally, in Korea, Korean Buddhist dance started with Wonhyo's educational Muae-mu (No hindrance dance) in the Silla (新羅) period and then developed into Yeongsan-jae (靈山齋 Grdhrakuta mountain ceremony) in the Joseon (朝鮮) period. However, when and where this kind of Dharma-making performance was made and transmitted is unknown. The fact that this kind of performance has been transmitted by word of mouth from teacher to student. So we need more specific study about this lineage transmission.

한국어

일반적으로 불교에서는 계율 상 가무를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무용의 종교적 의미와 교화적 기능에 대해서는 여러 경전들에 밝혀놓고 있다. 춤과 음악을 석존은 부정적으로 보았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세속적인 흥취에 빠지는 것을 경계하여 수도승들이 오락에 뜻을 두게 될 경우 출가수도자 본래의 의의를 망각할 수 있기 때문에 엄격하게 금지한 것이라 하겠다. 또한 석존은 대중들이 아름다운 춤과 음악을 마음을 다해서 공양하면 모두 불도를 이루게 되리라고 하였다. 이것은 춤과 음악의 긍정적면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불교무용의 기원이 환희용약(歡喜踊躍)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고, 또한 환희용약은 깊은 신앙의 결과에서 얻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불교에서 무용은 신앙의 행위적 표현이며, 의식무용으로 전개될 수 있는 소지를 내포하고 있었던 것이다. 불교무용의 기원을 인도무용의 기원과 인도 공희기원설, 영산회상기원설, 인도 오명의 기원설, 밀교의 기원설 등으로 살펴볼 수 있는데 인도남부사원의 예배에서 반드시 무용이 수반되었으며, 불교사원의 조각에 공양무를 추는 무용수의 모습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힌두신앙에서 공양의식으로 공희와 뿌자를 통해서 예경하는 의식이 점점 예술적인 불교무용으로 발전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영산회상기원설에서는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환희용약하는 대중들의 법회광경과 묘음보살이 청동천녀와 함께 꽃과 향으로서 공양하고 기악과 가무로써 찬탄하였던 광경이 예술적으로 승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영산재를 중심으로 불교무용이 전승보급 되는 점을 감안할 때 가장 많이 불교무용에 영향을 주었으리라 생각한다. 다음의 인도 오명설은 바라춤에 내명, 인명, 성명 등의 용어가 직접 거명된 점을 볼 때 불교 무용 바라춤이 오명에 기초했다고 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밀교의 기원설은 바라춤의 경우 대부분이 다라니와 진언으로 구성되어있는 점과 나비춤의 옴남작법에서와 같이 진언으로 구성된 사설에 맞추어 나비춤을 추는 경우와 다른 사설 중간에 진언을 하는 동안 나비춤을 추는 형식을 볼 때 밀교의 기원설도 불교무용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어느 시대에 누구에 의해서 현재와 같은 작법이 생겨났는지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고 있다. 다만 스승의 입을 통해서 지금까지 제자에게 전승되는 독특한 방식으로 내려왔다는 사실은 더 많은 조사연구가 필요하겠다. 불교무용의 사적전개는 인도의 사원에서의 무용수를 양성한 것과 사원의 조각작품, 그리고 까다칼리의 몸짓언어와 실제 영산재관욕작법에서 쓰이는 결인의 유사성을 살필 수 있었다. 중국의 천궁기악도에서 보살들은 악기를 연주하고 춤을 추는 동작은 우리의 나비춤에 영향을 주었으리라 추측할 수 있다. 티베트의 경우는 실제로 승려들이 불교무용을 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고 볼 수 있는데 주로 동물의 탈을 쓰거나 악귀를 쫒는 등 권선징악의 의미를 담아 추는 포교무극이 주를 이룬다. 이러한 점을 종합해 볼 때 한국에서의 불교무용은 원효대사의 교화무(敎化舞)인 무애무가 기원이 되어 조선시대에는 영산재의 형식 속에 불교무용이 의식적으로 한층 발전을 보게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어느 시대에 누구에 의해서 현재와 같은 작법이 생겨났는지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고 있다. 다만 스승의 입을 통해서 지금까지 제자에게 전승 되는 독특한 방식으로 내려왔다는 사실은 더 많은 조사연구가 필요하겠다.

목차

I. 서언
 II. 불교무용의 기원
  1. 불교무용의 기원과 의의
  2. 경전에 나타난 불교무용의 기원
  2. 인도무용의 기원
  3. 공희 기원설
  4. 영산회상 기원설
  5. 인도 오명의 기원설
  6. 밀교 기원설
 III. 불교무용의 사적(史的) 전개
  1. 인도
  2. 중국
  3. 티베트
  4. 한국의 불교무용
 IV.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종형 Kim, Jong-Hyung. 동방대학원 대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