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tudy on generative tactors of Chumsawi of Byeolshingut in the East Coast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ed to approach the generative factors of ‘Mumu’ from diverse angles through its synthetic research and analysis of ‘Mumu’ of Byeolshingut in the East Coast designated as the important cultural property.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1. It is necessary to give priority to establishing the terminology of East-coast dance and its motions or movements thus far diversely used based on six research materials thought to be well-organized in relation to the terminology of ‘Mumu’ dance and its movements. 2. The number of kinds of Mumu dances in six research materials is diverse because the motion of ‘Mumu’ has improvisation by the audience. 3. The movement of ‘Mumu’ is composed of mimetic words imitating the human movements. 4. Residents in the East-coast villages whose livelihood was fishing due to the natural conditions of the East Coast naturally and geographically unfavorable to the harbor activity invoked stability and large catch by performing the exorcism of the village community inevitably. ‘Eopochum Dance’, ‘Dance with Alaska Pollack’ were derived from the meaning of the Alaska pollack which revitalizes the transmission of ‘East-coast Byelshingut’, is the representative fish of the East Coast and prevents misfortunes. 5. The phoneme of the single vowel of the dialect used in the East Coast in terms of ethnogenesis largely contains 10. ‘Puneorichum Dance’ would be derived from Puneolri and ‘Geomuchum Dance' from Kummu. 6. Historically, ‘Geomuchum Dance’ would be derived from the occupation of the East-coast area including the incorporation of Dokdo and Ulreungdo at the time of King Jijeung in the Shilla Kingdom(512) and the establishment of Hwarangdo at the reigning period of King Jiheung(522) and the meaning of expressing the sorrow at the dead boy. 7. Religiously, the Shilla Kingdom occupied the East Coast area and developed the Buddhism-respecting policy and the Buddhistic culture since the unification of three ancient states. Therefore, therefrom derived ‘Barachum Dance’, ‘Jungchum Dance’, ‘Butterfly Dance’, ‘Georyeongsanchum Dance’ and the like.
한국어
본 연구는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동해안 별신굿의 ‘무무(巫舞)의 종류 및 춤사위용어들을 분석하고, ‘무무’의 생성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무무’에 대한 내적구조를 살펴본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무무’에 대한 춤과 춤사위 용어 정리가 전반적으로 잘 이루어졌다고 생각하 는 연구 자료에서 춤 및 춤사위 용어는 각기 다르게 제시되어 동해안 춤 및 춤사위 용어 정립이 우선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무무’의 연행이 관중에 의해 즉흥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료별로 다르고 무무의 명칭도 다양하다. 셋째, ‘무무’의 춤사위는 사람의 움직임을 흉내 낸 의태어가 주를 이룬다. 넷째, 지리적으로 항만활동에 불리한 동해안 자연조건으로 인해 어업이 주된 생계였던 동해안 마을 주민들은 불가피하게 마을 공동체의 굿을 하여 안정과 풍어를 기원하였다. 이것은 ‘동해안별신굿’전승의 활성화 및 동해안 대표 물고기이자 액운을 막아 주는 명태의 의미로 인해 ‘어포춤’, ‘명태 들고 추는 춤’이 유래되었을 것이다. 다섯째, 민속 어원적으로 동해시 방언의 단모음 음소는 10개가 주를 이루며 푸널이에서 ‘푸너리’춤, 검무에서 ‘거무’춤으로 유래되었을 것이다. 여섯째, 역사적으로 신라 지증왕(512)때 독도, 울릉도 영입을 비롯한 동해안 지역 확보 및 진흥왕(522)때 화랑도 설치 및 죽은 소년들을 애도하는 의미에서 ‘거무’춤이 유래되었을 것이다. 일곱번째, 종교적으로 신라는 동해안 지역 장악 및 삼국통일 이후 불교숭상정책 및 불교문화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바라춤’, ‘중춤’, ‘탑등과 괫대 들고 추는 춤’, ‘나비춤’, ‘거령산춤’이 유래되었을 것이다.
목차
2. 동해안 별신굿 무무의 종류
3. 동해안 별신굿의 춤사위 용어
4. 동해안 별신굿 춤사위의 생성요인
1) 지리적 요인
2) 민속 어원적 요인
3) 역사적 요인
4) 종교적 요인
6.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