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풍물굿의 소고춤에 나타난 3수 원리 - 기본춤사위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for examining the role and the meaning of the Sogo-dance, or taber dance which is usually performed as a part of Pungmul-kut. Especially, the principle of the numerical three(3) was explored here, which required the insight of Korean Kut culture, the meaning of the numerical three(3), the general features of Pungmul-kut, the role of the Sogo-dancer and the basic movement of the dance. Firstly, The numeric system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Korean Kut culture, which uses consistent symbols and belief, such as the number of gods, their rank, the number of offerings and so on. Most of all,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observe this numeric system in the Pungmul-kut and the system is based on the number three(3). Secondly, Pungmul-kut differs not only from time to time but also from region by region, for Pungmul contains the communal ritual of each region. Pungmul, as a kind of group play, is more cohesive than any other form of play because it is impossible to draw a sharp line between performer and audience. Lastly, Sogo-dance intermediates performers and spectators so that it attracts spectators to participate or play together. It is performed with the basic triple-measured time, which is widely us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In addition, its basic motions are composed in accordance of the system of numeric three(3), which means the harmonic movements of the heaven, the earth, and the people. Korean people have the unusual preference for the number three(3). The number three(3), as a important factor for framing Korean culture, also connote creation, life, and the subject. It is confirmed that this number has been handed down and intensified in Sogo-dance. In conclusion, as motions and symbolic system reveal the idea of the number three(3), Sogo-dance will provide unlimited inspiration and the principles for updating the present life and culture.

한국어

본 연구는 풍물굿에서의 소고춤의 역할과 기본 춤사위의 의미를 기본구조인 3수의 원리를 중심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의 굿문화와 3수의 의미, 풍물굿의 일반적 특성, 풍물굿의 소고춤 역할과 특성, 소고춤의 기본 춤사위에 대한 통찰을 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굿문화는 마을을 중심으로 발달한 공동체의 구심점에 있는 살아있는 활동이었고, 그 굿문화에 있어서 수리체계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굿에서 사용하는 상징들이나 신의 수, 또는 그 위계, 제물의 수, 절하는 수 등에서 일관된 상징과 신념체계를 볼 수 있다. 특히 풍물굿에서의 수리체계는 절대적이다. 굿물의 상징체계, 박자구조, 징 박의 수 등에 담긴 수리관념은 일관된 모습을 보여준다. 그 근간에 놓인 수의 개념이 3이라는 숫자이다. 둘째, 풍물굿은 시대에 따라 변해오기도 했지만 지역에 따라 형태가 달라지기도 하였다. 풍물의 성격상 지역의 공동체적인 의식을 담고 있기 때문에 각 지역의 향토성에 알맞게 멋스럽게 발전하였기 때문이다. 집단적 놀이형태인 풍물놀이는 그 놀이 구성에서 참가자와 구경꾼이 구분되지 않는 공통요소가 가미되어 여느 놀이보다 응집력이 강하며 공동체의식이 고양되는 형식이다. 셋째, 소고춤은 풍물판의 구조상 중간역할임과 동시에 구경꾼들에게는 가장 달궈진 제3지대를 형성시킨다고 하겠다. 수시로 넘나들 수 있는 자유지대이자 판을 이끌어 가는 치배와 판에 모인 구경꾼들의 흥이 하나로 부딪혀 만나버리는 정점이 바로 소고춤이다. 이러한 소고춤은 박자와 리듬을 갖게 되는데 한국 전통음악, 한국의 토속음악의 주류인 3박으로 엮어지고 풀어져 나오는 장단으로 펼쳐지고 있으며, 더 나아가 소고춤의 기본 춤사위는 1과 3의 수리체계와 일치되는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천지인의 조화로운 운행과 통합을 적극적으로 이룩해보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는 춤사위라 하겠다. 우리 민족은 유난히 3이라는 숫자를 좋아한다. 무엇을 하여도 삼세번이라는 사고 의식은 한국 문화를 만들어 내는 구성 원리이다. 이러한 3이라는 숫자는 창조, 생명, 주체사상의 수로서 우리의 문화현장인 풍물굿의 소고춤에서 심화 확장되면서 면면이 이어져 내려오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결국 풍물굿에서의 소고춤은 3의 사상을 발현시키는 몸짓이자 그 상징체계로서 지금의 삶과 문화를 창조적으로 만들어 가는데 무궁무진한 영감과 창작 원리를 제공해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연구방법 및 제한점
 II. 한국의 굿 문화와 3수의 의미
  1. 전통적인 세계관과 3수사상의 투영성
  2. 3수의 박자와 우리의 춤사위
  3. 우리 굿의 구성원리와 3수의 의미
 III. 풍물굿의 일반적 특성
  1. 풍물굿의 기원 및 발달
  2. 풍물굿의 지역적 특성과 유래
 IV. 풍물굿의 소고춤 역할과 특징
  1. 풍물굿에 있어서 소고춤의 역할
  2. 소고춤의 전개와 지역적 특성
 V. 소고춤의 기본춤사위와 그 구성 원리
  1. 소고춤 기본춤사위와 3수의 원리
  2. 소고춤사위와 장단의 원리
  3. 소고 춤사위로서의 진풀이
 VI.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경숙 Kim, Kyung-Sook. 국립국악고등학교 무용교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