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동북아시아 민간신앙의례의 연행예술 비교연구 - 한국의 무당굿, 중국의 나희(儺戱),일본의 카구라(神樂)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Comparative Study of Folk Ritual Performing Arts in East Asia - Focusing on Korean Kut, Chinese Nuoxi, and Japanese Kagura -

이용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 China, and Japan consist a cultural area that share Chinese characters. The so-called world religions, such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have played a great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their religious structure and performing arts. However, there have existed local folk religions before the rise of the world religions. The folk religions in the three countries share a common trait that the rituals have music, dance, and drama performed by the religious practitioner.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commonalities and distinct features found in the performing arts of folk rituals in three countries; Korean shaman ritual, called kut, Chinese nuoxi, and Japanese kagura. Korean kut is performed by the professional shaman who experience spiritual power during the ritual. The shaman herself becomes the spirit and does not have to use masks that symbolize the spiritual power. The shaman dances alone in order to exhibit the spiritual power to the audience. The shaman's dance and song are accompanied by various musical instruments. The instrumentalists are also professional musicians that they play complex melodies and rhythms. Japanese kagura is performed by the villagers who do not experience spiritual power during the ritual. The performers often ware masks that symbolizes the presence of the deity at the ritual space. The dance is mostly performed by two or four dancers in contrast movements and shows the principle of yin and yang. Since the accompanying music is played by the villagers, the music is rather simple with a limited number of musical instruments. Chinese nuoxi lies between Korean kut and Japanese kagura. Chinese nuoxi is performed by special ritual practitioners who are half-shamans. They also ware masks during the ritual in order to transform themselves to spiritual characters. The dance, performed by various numbers, is rather complex and often presents dramatic scenes of deities. the The accompanying music is performed by various percussions, not by melodic instruments, in rather simple rhythmic structure. Since the folk rituals in the three countries have a long history and have preserved their own artistic idioms and characteristics that it is hard to compare them within a limited scope. However, since they have existed long before the rise of the world religions that they have preserved the ancient religious structure and performing arts. In this sense, it will be possible to understand the universal traits of folk performing arts underlying in the these rituals.

한국어

한국 중국 일본은 동북아시아의 한자문화권을 형성하는 세 나라이다. 이 문화권에서는 유교, 불교, 도교가 종교문화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쳤지만, 각각의 고유한 토착신앙이 존재했었고 현재도 민간신앙으로 전승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토착민간의례이자 악가무극(樂歌舞劇)의 종합연행예술인 한국의 무당굿이나 중국의 나희(儺戱), 그리고 일본의 카구라(神樂)의 무용과 음악을 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자 한다. 한국의 무당굿은 신의 체험을 통해 의례를 주재하는 무당이라는 직업적 사제자이자 예능인에 의해 연행되기 때문에 신을 상징하는 탈을 쓰는 경우가 그리 많지 않고 복잡하고 다양한 리듬에 맞춰 춤을 추고 노래를 한다. 일본의 카구라는 일반 주민이 연행하는 의식이기 때문에 신을 상징하는 탈을 쓰고 노는 탈놀이가 많고 적은 숫자의 악기가 연주하는 단순한 리듬에 맞춰 춤을 추고 노래를 한다. 중국의 나희는 한국의 무당굿과 일본의 카구라의 중간위치에 놓인다고 할 수 있다. 반(半)전문가가 연행하기 때문에 반주악기는 많지만 선율을 연주하는 악기가 거의 없고 주로 리듬을 연주하는 타악기가 많고 한국의 무당굿에 비해서는 단순한 리듬에 맞춰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른다. 한국, 중국, 일본의 민간신앙의례는 오랜 세월동안 워낙 다양한 형태로 전승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특징을 단순비교하는 것은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나 민간신앙의례는 고등종교가 성립되기 이전부터 존재했던 가장 오래된 종교형태와 연행예술형태를 간직한 것이기 때문에 동북아시아 전통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찾기 위한 첫걸음으로 각국의 대표적인 민간신앙의례의 무용과 음악을 비교하는 것은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I. 내드름
 II. 문화사적 개요
 III. 종교적 신격(神格)
 IV. 연희자의 성격
 V. 무용과 무구
  1. 무용
  2. 무구
 VI. 악기 
  1. 한국 무당굿의 악기
  2. 중국의 나희의 악기
  3. 일본 카구라의 악기
 Vll. 음악
  1. 한국 무당굿의 음악
  2. 중국 나희의 음악
  3. 일본 카구라의 음악
 VII. 맺는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용식 Lee, Yong-Shik. 한양대학교 국악과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