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불법조업 중국어선에 대한 해양경찰의 대응방안

원문정보

Illegal Fishing of Chinese Fishing Boat and Countermeasure of Korean Maritime Police

노호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came into effect as Nov. 1994, not only Korea, But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China, Japan declared their own EEZ and took a necessary measures to secure their EEZ, accordingly a variety of dispute kept on arising between those countries. Korea made fishery agreement with China and Japan, afterwards chinese fishing vessels often crossed over korean EEZ and engaged in illegal fishing activities. Korea Maritime Police made frequent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to their activities and arrest illegal fishing boats. With KMP's strong countermeasures, numbers of chinese fishing boats in Korean EEZ have been increasing. KMP has an organizational structure of a headquarter and 14 maritime police stations as a regional organizational units. But this organizational structure was established before the era of EEZ and should be enlarged to increase the administrative power to control over in fact the expanded sea. Illegal fishing is primarily an economic activity. Recognising that incentives to engage in illegal fishing activities are also economic by nature, the general economics of crime and punishment can be used to model this phenomenon. The level of expected sanctions is positively linked to two main strategies: ① the probability of being apprehended and ② the sanction level. KMP is required to introduce the integrated patrol system which is composed of cutter, aircrafts, land-based facilities and satellite. Since KMP's patrol capabilities lack of high endurance cutters, aircrafts and land-based facilities to process intelligence and relevant data, the Integrated Patrol System can be operated so far. Therefore KMP advisably make a plan to prepare long-term patrol strategy with augmentation and modernization of patrolling resources.

한국어

불법조업에 대한 주무기관인 해양경찰은 외국어선의 불법조업을 사전에 차단하고 단속하기 위한 정책 및 활동계획 등을 수립하여 시행하고는 있지만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중국어선의 불법조업에 대한 대응의 근거, 중국어선의 불법조업현황과 해양경찰의 대응역량을 분석하여 대응방안을 모색하였다. 대응방안은 첫째, 체포가능성을 높이는 전략으로는 불법 중국어선에 대한 단계별 조치를 적절하게 수행하고 체포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해양경찰의 장비를 개선하며, 물리력을 갖춘 경찰특공대의 육성,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기 위한 외국어 능력은 필수적이라고 생각되고, 영토의 4.5배의 광활한 지역이므로 해상경비방법은 항공기 및 인공위성 등을 이용한 종합적․입체적 경비로 전환해야 할 것이다. 둘째, 제재수준을 엄격성을 높이는 전략은 처벌의 수위를 높이는 것이다. 담보금을 올렸더라도 불법조업으로 인한 이익이 더 크다면 불법조업행위는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담보금을 더 높여서 처벌의 엄중성을 높이는 방안도 고려해 보아야 한다. 셋째, 중국어선의 불법조업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전예방적 조치권한을 해양경찰청에 부여하고, 그 의무를 위반하거나 위반이 확실시 되는 경우 나포․추적권을 포함하여 경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해양경찰의 작용규정을 명문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목차

국문초록
 I. 문제의 제기
 II. 중국어선 불법조업 대응의 근거
 III. 중국어선의 불법조업 현황과 해양경찰의 대응역량
 IV. 대응방안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노호래 Roh, Ho Rae. 국렵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경찰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