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정선의 그림 수요 대응 및 작화 방식

원문정보

Ch ng S n’s Responses to Painting Commissions

장진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plores the ways in which Ch˘ong S˘on (1676-1759) responded to painting requests in everyday life. Ch˘ong has long been considered one of the most creative and eminent painters of late Chos˘on Korea. He played a pivotal role in laying the foundation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 During his lifetime, Ch˘ong traveled to Mount K˘umgang (Diamond Mountains) and other famous scenic sites along the East Sea area and created a large number of paintings depicting the splendid beauty of famous places. He also traveled frequently to historic and scenic places in and around the capital city of Hanyang and painted numerous topographical landscapes of them. He was a brilliant and creative painter whose genius and innovative mind led to the creation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 and set a new paradigm for late Chos˘on painting. At the same time, however, he was a lucrative and entrepreneurial painter who had to deal with numerous painting requests from patrons and clients. Ch˘ong S˘on received too many commissions to manage. The painting requests were overwhelming to the degree that he employed his son and his students as ghost painters to meet the demand. As painting commissions became too pressing, he painted a large number of routine paintings with schematized compositions, loose and mechanical brushwork, and repetitive ink dots. Many textual records note that Ch˘ong S˘on used frequently the speedy and cursory brushwork in
the making of routine landscapes. Tired of completing commissioned works, he wielded his brush to make such perfunctory landscapes. It is not surprising to find that many of his extant paintings are routine landscapes. This is indicative of how he was reluctant to respond to painting requests and how his everyday life as a painter was devoted to resolving the problem of commissioned works. Ch˘ong S˘on was the most celebrated and best-paid painter of his time. This pushed him to work constantly on numerous commissions. His paintings were highly paid even in the art market in Beijing so that members of the Korean envoys to China put much pressure on Ch˘ong to paint pictures for them, pictures that were to be sold at more prices in china. Ch˘ong was the most creative yet the busiest painter to respond to all different kinds of painting requests. His life as the most sought-after painter of his day sheds new light on how he worked and lived. Examination of the reality and myth of Ch˘ong S˘on’s life serves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various dimensions of his career as the most creative yet commercially successful painter.

한국어

정선(鄭敾, 1676~1759)은 조선 후기에 중국적인 화풍을 모방하던 전통적인 화풍에서 벗어나 금강산과
서울의 명승명소(名勝名所)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새로운 진경산수화풍을 개창한 화가로 높게 평가되어
왔다. 정선의 작가적 생애, 정선 화풍의 양식적 특징과 미학적 가치, 정선과 후원자, 정선의 진경산수화와 회화이론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그 동안 이루어져 정선의 생애와 예술세계에 대한 상당한 이해에 도달하게 되었다. 그러나 정선이 어떠한 상황에서 그림을 제작하였으며 누구를 위하여 회화작품을 제작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진하였다. 즉 정선의 진경산수화 작품들에 대한 사회적 수요는 어떠한 양상이었으며 정선은 이러한 그림 수요에 대응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그림을 제작하였는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학술적인 관심이 부족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정선의 그림 수요 대응 및 작화 방식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정선의 화가로서의 일상생활을 규명하고자 한다. 분주한 일상생활 속에서 정선은‘휘쇄필법(揮灑筆法)’이라는 한 번에 쓸어내리듯 급히 휘두른 필묵법으로 폭주하는 그림 수요에 대응해 나갔다. 즉 매우 빠른 붓질로 경물을 신속하게 그려내는 정선의 작화 방식은 그림 주문이 너무 많아 하나하나 성의를 다해 그릴 수 없는 상황에서 급히 그림을 그리기 위해 고안해낸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병연(李秉淵, 1671~1751), 조영석(趙榮􅺹, 1686~1767), 권섭(權燮,1671~1759), 신돈복(辛敦復, 1692~1779), 강세황(姜世晃, 1713~1791), 심재(沈縡, 1722~1784), 이규상(李奎象,1727~1799) 등은 정선의 그림을 평가하면서 모두‘휘쇄필법’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을 정도로 정선의 그림 수요 대응 방식으로 휘쇄필법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조영석은 정선이 그림 주문에 시달려 피곤하고 지친 필법인‘권필(倦筆)’로 그림을 그렸으며 그림 주문이 폭주할 경우‘응졸지법(應猝之法),’즉 갑작스러운 그림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임시방편적으로 그림을 그리는 경우가 많았음을 지적하고 있다. 즉‘휘쇄필법,’‘권필,’‘응졸지법’은 정선의 바쁘고 지친 일상생활과 밀려드는 그림 주문을 감당하기 위해 고안해 낸 형식적인 필묵법으로 상호간에 깊은 연관성을 지닌다. 즉‘휘쇄필법,’‘권필,’‘응졸지법’은 정선이 그림 주문에 시달려 바쁜 일상 속에서 정성을 들이지 않고 대충대충 형식적으로 그린‘수응화(酬應畵)’제작을 위해 사용한 필묵법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정선이 한가할 틈도 없이 거의 매일 그림을 그릴 수밖에 없었던 것은 정선 그림의 높은 가격 때문
이었다. 정선의 그림은 화첩의 경우 보통 30~70냥 정도했으며 따라서 작은 조각 그림도 모두 보배로 여길정도로 정선 그림의 인기는 대단하였다. 아울러 정선의 그림을 중국으로 가져가 파는 경우가 있었는데 중국에서 정선 그림은 100~130금(金)을 호가하였다. 18세기 전반 중국 청나라 인기 화가들의 그림들이 대 부분 6금(金)이하이며 건륭제(乾隆帝, 1736~1695년 재위) 시기의 일급 궁정화가들의 한 달 월급이 11금이라는 사실을 고려해 볼 때 정선 그림의 가격은 경이로운 일이었다. 정선은 자신의 그림을 사서 중국에 되팔려는 사람들의 그림 요구로 나날이 쉴 틈 없이 그림을 그렸던 것이다. 조영석이 언급하고 있듯이 정선의 화가로서의 명성이 높아지자 비단은 날로 쌓여가고 한가할 틈이 없어졌을 정도로 정선은 매일 그림을 그렸지만 엄청난 그림 수요를 감당할 수 없었다. 정선은 생의 거의 마지막까지 그림 주문에 대응하는 바쁜 삶을 살았다. 『열하일기(熱河日記)』에서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은“겸재(정선)는 80여세가 되어도 여러 겹의 두터운 안경을 쓰고 촛불 아래에서 세밀한 그림을 그렸는데 터럭만큼도 실수가 없었다(謙齋年八十餘, 眼卦數重鏡, 燭下作細畵, 不錯毫髮)”라고 노화가(老畵家) 정선의 그림 그리던 상황을 전하고 있다. 눈이 어두워 두터운 안경을 쓰고 촛불 아래에서 열심히 그림을 그리던 80여세 노인 정선의 일상생활은 현재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그의 또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목차

Ⅰ. 정선과 휘쇄법(揮灑法)
 Ⅱ. 휘쇄법과 수응화(酬應畵)
 III. 수응화의 성격
 Ⅳ. 정선그림에 대한 수요와 정선 그림의 가격
 국문초록
 Abstract
 參考文獻

저자정보

  • 장진성 Chin-Sung Chang.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