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창립10주년기념 ‘도시와 미술’ 특집〉

신라 왕경의 형성과정과 사원

원문정보

The process of the Silla’s capital city construction and Buddhist temples

이근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on the process of the Silla’s capital city construction based on the construction years of buddhist temples and the change of the temples’distribution area. In the result, having a big gap with the existing recognition, the process matched with almost all the archaeological results in resent years.
The first, the temples were built in the eastern area around Seo-cheon for the middle of 6 century
and the early 7 century when Buddhism was recognized officially, but the other hand large buddhist temples like Hwangryong-sa became to be influenced by ‘Bang-ri system’which was a plan of the capital city construction.
The second, the building of temple was beginning to spread over around Jeonrang-ji, where was
the southern area around Buk-cheon, and the around area of Nang-san in the early 7 century when Silla made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And further, the temple were built on around the northern area of Buk-cheon in the middle of 8 century when the plan of the capital city construction was almost completed.
The third, the important temples were built in the western and northern slopes of Toham-mountain which was one of O-ak(The Five Great Mountains) in the unification period.
The forth, in the 9 century as the latter part of the Silla Dynasty, the temples were built heavily in
the nam-mountain area and the borders of the capital city.
Therefore, the buildigs of temple in the Silla’s capital city were not spreading over to the around
area from Weol-seong but also were phased in to spread over to the eastern area of Seo-cheon which was the western of Weo-lseong, Weo-lseong and the around of Nang-mountain, the northern of Bukcheon and the borders of the capital. The reason could borthenected with of Weo-lseong, overcoming the natural envirhements, which were like the overflows, the swampy places and etc, of the Silla’s capital city.

한국어

본고는 경주지역 가운데 신라 중고기이후 하대까지 도시계획이 이루어진 왕경과 주변지역에 남아 있
는 절터의 창건연대와 분포지역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신라 왕경의 형성과정을 살핀 글이다. 그 결과는 기존의 인식과는 많은 차이를 보였으나 최근의 신라왕경의 형성과정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 성과와는 대부분 일치하였다.
첫째, 불교가 공인되는 6세기 중엽부터 7세기 전반에 이르는 기간 동안은 월성 서편인 서천동안지역부
터 사원이 집중적으로 창건되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월성주변지역에도 황룡사와 같은 대찰이 도시계획
인 방리제의 영향아래 들어서기 시작하였다.
둘째, 통일 초인 7세기 후반에 이르면 사원의 창건은 월성을 중심으로 북천 남쪽지역인 전랑지 주변 지
역과 낭산지역으로 확산되기 시작하였다. 나아가 월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의 도시계획이 거의 완성되
는 8세기 중엽 이후에는 북천 북쪽지역에도 사원이 확인된다.
셋째, 통일기에 이르러 오악 가운데 동악으로 숭배되던 토함산 서록과 북록에도 중요 사원들이 들어서
고 있다.
넷째, 신라 하대인 9세기 이후의 사원은 왕경의 중심지를 벗어난 남산지역과 외곽지역에 집중적으로
창건되었다.
따라서 신라 왕경내의 사원은 월성을 중심으로 일시적 또는 서서히 창건되면서 주변지역으로 확대된
것이 아니라 월성서편인 서천동안지역 - 월성과 낭산주변지역 - 북천이북지역 - 왕경외곽지역 순으로 단계적으로 이동하면서 확대되어 갔다. 그 원인은 경주분지를 에워싸고 흐르는 세 하천의 범람으로 인해형성된 신라왕경 중심지역의 저습지 등 자연환경을 극복하는 과정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중고기의 사원창건
 Ⅲ. 중대의 사원창건
 Ⅳ. 하대의 사원창건
 Ⅴ.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參考文獻

저자정보

  • 이근직 Lee keun jik. 경주대학교 문화재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