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창립10주년기념 ‘도시와 미술’ 특집〉

都市文化의 해석과 미술

원문정보

ART AND CITY, OR MODERNITY AND NATURE AS CITY

도시문화의 해석과 미술

윤범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expression that God created man and man made a city is a significant symbolic articulation as to city (culture). In the age of global village, urbanization gathered speed every day to the extent that it became a social issue coming to the fore as deposition phenomenon in a farm village. Modernity started to held sway along with city culture and the city as new visual reality had huge influence on art and architecture as it is. Contemporary art imprints a sense of existence as it forms and grows in the city. Not until 1920s-30s that the city culture began to shape in Korea. Given that it started as a colonial ci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re were problems in its way. A city generated consumerism and a department store was a collective symbol of consumption culture. The fact that department store scene was frequently appeared in the literature of that time is interlinked to the transformation of visual reality. The city began to change curve lines of nature into straight ones. The road is a concrete product of that straight line. Due to the convenience in colonial ruling, Japan was impassioned in constructing network of roads. So-called newly constructed road was new scenery and the city started to show the look of transformation centering on roads. The construction of network of roads in 1920s-30s was tied to a traffic network bringing promotion of tourism. The sites of magnificent view or cultural heritage were crowded as a result of traveling culture. Focused on scenic spots, tourist culture opened up a new realm of development of subject matter for art. Although the tourist culture of 1920s-30s made pay new attention to scenery, it was too early to reflect city culture onto art. A critical approach to the subject matter of city (culture) was formed only in 1980s. Earnest ‘city exploration’by the member of Hyunsil and Baleon was a catalyst in understanding the truth of city culture from various points of view. To come to the point, the formation of city culture in the case of Korea has started in 1920s -30s but it was not until 1980s that artists began to investigate and employ city culture in their works, same period when Hyunsil and Baleon was active. The result of time difference like this is related to the conservative perspectives of traditional age when people worked at a distance from the reality. In other words, weakness of realist art is in keeping with the fact that it did not take an active part in conveying city culture on a picture plane. But the conditions of society have changed and especially the art world urged to change. Now the city is positioned as a trading center of desire and a certain nature which is inevitable. Reacting immediately to the new transformation as such, the art demonstrated different aspects of figuration of visual reality. After all, the city is another form of nature in modern society.

한국어

조물주는 인간을 낳고 인간은 도시를 낳았다는 표현은 그만큼 도시(문화)에 대한 상징성을 강력하게 한 표현이다. 지구촌 시대의 도시화 현상은 날로 가속도를 보여 농촌의 空洞化현상까지 대두될 정도로 사회문제가 되었다. 근대성은 도시문화와 더불어 위력을 발휘하기 시작했고, 도시라는 새로운 시각현실
은 그대로 미술과 건축분야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현대미술은 도시에서 형성되고 성장하면서 존재감
을 각인시키고 있다.
한국에서 도시문화가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때는 1920-30년대이다. 일제 강점기의 식민지 도시
로 출발했기 때문에 나름대로의 문제점을 간과할 수 없다. 도시는 소비문화를 낳았고, 소비문화의 총체
는 백화점으로 상징되었다. 당대 문학에서 백화점 풍경이 즐겨 다뤄진 것은 시각현실의 변화와 맞물리는현상이다. 도시는 곡선의 자연을 직선으로 바꾸기 시작했다. 직선의 구체적인 산물은 바로 도로였다. 일제는 식민통치의 편리성 때문에 도로망 건설에 열중했다. 신작로라고 일컬어졌던 도로 건설은 새로운 풍경이었고, 도시는 도로를 중심으로 변화의 모습을 보였다. 1920-30년대의 도로망 건설은 곧 교통망으로 연결되었고, 이는 관광산업의 진흥을 불러왔다. 여행문화는 절경과 같은 자연이나 문화유산의 현장을 인파로 붐비게 했다. 명승지 중심의 관광문화는 미술 소재의 개발이라는 점에서도 새로운 경지를 안게 했다. 1920-30년대의 관광문화는 풍경에 대한 새로운 주목을 갖게 했지만 도시문화를 미술에 본격적으로 반영하기에는 아직 시기상조였다. 관점과 해석이란 개념은 매우 중요하다. 도시문화의 활발한 전개와 미술적 해석은 별개의 문제이다. 이는 마치 역사를 특정한 史觀에 의해 해석하고 기술하는 것과 맥락을 함께 하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도시문화의 미술적 해석은 매우 중요하다. 도시(문화)라는 소재의 해석 혹은 비판적 접근은 1980년대에 이르러서야 본격화되었다. 현실과 발언 동인 중심의 본격적‘도시 탐구’는 도시문화의 실체를 새로운 각도에서 해석하게 하는 촉매역할을 했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한국의 경우 도시문화의 형성은 1920-30년대에 비롯되었으나, 도시문화를 미술가들 이 본격적으로 해석하여 작품화하기 시작한 것은 현실과 발언 동인이 활동하던 1980년대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같은 時差의 결과는 당대 현실과 거리를 두고 미술작업을 하던 전통시대의 보수적 시각과 연결 된다. 달리 표현하여 리얼리즘 미술의 부진함은 곧 도시문화를 적극적으로 미술에 수용하지 않았다는 것과 맥락을 같이한다. 하지만 1980년대의 사회환경은 변했고, 특히 미술계 환경도 변화를 촉구했다. 도시는 이제 욕망의 집산지이면서 피할 수 없는 하나의 자연으로 위치지어졌다. 미술은 이같은 새로운 변화에 즉자적으로 반응하면서 시각현실의 조형화에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현대 사회에서 도시는 또 하나의 자연이었던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도시와 근대성 그리고 시각현실의 변화
 Ⅲ. 미술작품과 서울이라는 도시
 Ⅳ. 도시문화의 해석과 미술작품
 Ⅴ.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參考文獻

저자정보

  • 윤범모 Youn Bummo. 경원대학교 미술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