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스톤테라피를 이용한 중년여성의 복부비만관리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abdominal obesity management using the stone-therapy in Korean middle-aged women

한채정, 정유경, 김은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tone therapy is one of the natural therapies using the principle of 'homeostasis' of the human body.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cientific ground of stone therapy which serves to improve abdominal obesity in middle-aged women. A total of ten middle-aged women(over BMI 25)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stone therapy was provided with 16 times during 8 weeks(2 times/week). Anthropometric(weight, BMI, body fat percent, body fat, lean body mass, WHR, waist circumference) and biochemical(fasting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C-reactive protein) assessments were undertaken at baseline and after 8weeks. After completing the stone therapy , weight(p<0.01), BMI(p<0.01), body fat percent(p<0.01), body fat(p<0.01), WHR(p<0.05), waist circumference(p<0.01)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lso, a significant decrease in total cholesterol(p<0.01), triglyceride(p<0.01) and C-reactive protein(p<0.05). These favorable results indicate that stone therapy have contributed to a beneficial change in anthropometry and biochemical index for management to abdominal obesity. We suggest more and deeper study are necessary to ensure systematic management program using stone therapy for abdominal obesity.

한국어

본 연구는 복부비만인 중년여성에게 스톤테라피를 적용하여 복부비만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새로운 중재 방법으로의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BMI가 25이상인 중년 여성 10명을 선정하여 스톤테라피를 이용한 복부비만관리를 하였다. 8주 동안 총 16회의 스톤테라피 실시 후 체중은 70.18±11.07kg에서 66.79±9.90kg으로 약 3.5kg가량 감소하였으며, 체지방량도 24.81±6.06kg에서 23.28±6.19kg으로 감소하였다. 체지방률 또한 35.14±3.30%에서 32.11±4.28%로 감소하였으나 제지방량과 근육량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CRP의 유의적인 감소가 있었는데, 총 콜레스테롤은 실시 전 201.56±21.47mg/dl, 실시 후 175.33±26.92mg/dl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중성지방 역시 160.56±43.61mg/dl에서 123.67±33.20mg/dl로 감소하였으며, CRP는 0.05±0.07mg/dl에서 0.02±0.03mg/dl로 감소하였다. 공복혈당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스톤테라피를 이용한 복부비만관리가 중년여성의 복부비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초록
 I. 서론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기간
  2. 연구 도구
  3. 스톤테라피 방법
  4. 자료처리 및 측정방법
 III. 결과 및 고찰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스톤테라피가 체성분 및 허리둘레에 미치는 효과
  3. 스톤테라피가 혈액 성상에 미치는 효과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채정 Han, Chae-Jeong. 영산대학교 미용예술학과
  • 정유경 Jung, You - Kyoung. 영산대학교 미용예술학과
  • 김은희 Kim, Eun - Hee. 영산대학교 미용예술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