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여성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화장품 구매 태도

원문정보

Buying Attitude on Cosmetics of Women with Life Style

황완균, 이영애, 안희진, 조연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uy and satisfaction on cosmetics of women with lifestyl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0 to June 10 in 2009.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used to analyze the 330 female subjects wer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rosstab,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women were buying basic cosmetics as well as skin lotion, moisture lotion, eye cream and fuctional cream, and they more invested basic cosmetics than makeup cosmetics. Second, women's the most buying factor on cosmetics is function. Third, the well-being pursuit disposition factors had satisfaction of using on basic and makeup cosmetics, and health concerned group more used basic and makeup cosmetics than other group.

한국어

본 연구는 20대~50대 여성을 대상으로 육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한 삶을 추구하고 이를 통해 삶의 행복과 만족을 찾으려는 라이프 스타일을 변수로 여성의 화장품 구매 태도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들은 색조화장품보다는 기초 화장품 구입에 더 많은 비용을 투자 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색조화장품은 많은 연구 대상자들이 3가지 이하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초화장품은 4가지 이상 사용하는 대상자가 많은 것으로 보여 스킨과 로션, 영양크림 이외에 주름이나 미백에 효과적인 기능성 화장품에 관심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화장품 회사 및 판매처에서는 여성용 상품 개발 및 판매시 보습, 미백 등 기초화장품의 기능을 높이는데 주력하여 여성의 욕구를 충족시켜야 할 것이다. 둘째, 여성들은 화장품 구매 고려 요인으로 기능성을 가장 높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화장품 업계의 노력이 더욱 많이 요구되며, 화장품 판매처에서도 기능성 화장품 위주의 마케팅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여성들 중에서도 노후를 준비하거나 여가 생활에 투자하고, 삶과 생활이 여유롭다고 여길수록 기초와 색조 화장품의 사용에 만족하고, 다른 집단에 비하여 정기적인 건강검진이나 규칙적인 운동 등으로 건강에 관심이 높은 집단이 기초와 색조화장품 사용을 많이 하고 있었다. 최근 들어 사회생활 및 여가 생활에 적극적이고 건강에 관심을 갖는 여성이 증가하고 있어 이들 계층의 화장품 사용 정도는 더욱 높아질 것이므로 화장품 회사에서는 피부 결점을 보완, 개선하거나 얼굴 결점을 감출 수 있는 화장 기법 등의 정보 제공으로 고객의 마음을 잡아야 할 것이다.

목차

초록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II. 연구 방법 및 절차
  1. 연구문제
  2. 측정도구
  3. 자료 수집 및 분석
  4. 연구 대상의 특성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1. 여성의 화장품 구매 태도
  2. 여성의 라이프 스타일 요인이 화장품 구매 태도에 미치는 영향
  3. 라이프 스타일 군집에 따른 화장품 구매 차이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완균 Whang, Wan-Kyun.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향장미용학과
  • 이영애 Lee, Young-ae.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향장미용학과
  • 안희진 An, Hee-Jin.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향장미용학과
  • 조연경 Jo, Youn-Kyoung.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향장미용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