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근막이완 요법이 통증 완화에 미치는 영향 - 피아노 연주자의 상부 승모근을 대상으로 -

원문정보

The Effect of Myofascial Release on the Alleviation of Pain - revolve around Upper Trapezius Muscle of Piano Player -

서동천, 최태부, 채수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yofascial pain syndrome means the light damage to the muscle and the membrane of muscle caused by a certain repetitive motion. Piano players tend to practice for long hours with repetitive motion being seated. As a result, many of them complain pain in the neck and shoulder and suffer trapezius muscle myofascial pain. In this study, 20 adult women were tested, who had the pain in the neck and shoulder while majoring in piano at university, to examine the effects of both myofascial release therapy and stretching therapy for alleviating the myofascial pain. They were divided into the myofascial release group composed of 10 and the stretching group composed of 10. The test was carried out 8 times for four weeks, two times each week. The body surface temperature, subjective pain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est.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body surface temperature rose by 1.20℃ on the average and the index of subjective pain decreased by an average of 6.8 in the myofascial release group and showed that the body surface temperature rose by 0.24℃ on the average and the index of subjective pain decreased by an average of 2.2 in the stretching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myofascial release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myofascial pain in the upper trapezius muscle than stretching.

한국어

일정한 동작의 반복적 수행과 경미한 손상이 근육과 근육을 싸고 있는 근막에 반복되어 생기며 나타나는 통증을 근막통증증후군이라고 한다. 피아노 연주자들은 장시간 앉은 자세로 반복적인 동작으로 피아노를 연주한다. 이로 인해 다수의 연주자들은 목과 어깨부위에 통증을 호소하고 승모근 근막통증이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근막통증의 해결 방법으로 근막이완요법과 스트레칭요법 두 가지 관리 방법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현재 대학에서 피아노를 전공하면서 목과 어깨부위에 통증을 가지고 있는 성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근막이완요법군 10명, 스트레칭요법군 10명으로 각각 나누어 실험하였다. 실험은 4주 동안, 주 2회, 총 8번을 진행하였고 실험 전과 실험 후에 체표면 온도, 주관적 통증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근막이완요법군의 체표면 온도는 평균 1.20℃ 상승했으며, 주관적 통증 지수는 평균 6.8 감소하였다. 스트레칭요법군의 체표면 온도는 평균 0.24℃ 상승했으며, 주관적 통증 지수는 평균 2.2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 근막이완요법이 스트레칭요법보다 상부 승모근의 근막통증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초록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3. 측정도구 및 측정방법
 III. 결과 및 고찰
  1. 체표면 온도 변화
  2. 주관적 통증 변화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동천 Seo, Dong Chun.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향장학과
  • 최태부 Choi, Tae Boo.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향장학과
  • 채수형 Chae, Su Hyung. 여주대학 뷰티디자인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