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하이데거와 선불교(禪佛敎) -형이상학 극복의 관점에서의 비교-

원문정보

Heidegger und Zen-buddhismus- im Hinblick auf die Überwindung der Metaphysik -

서동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in Vergeleich zwischen Heideggers Denken und Zen-buddihistische Denken wird von den mehrenen Geisteswissenschaftler untersucht. Einige Geisteswischenschaftler heben den grundsaetzlichen Unterschied zwischen den beiden Denkwesen hervor, während einige Geisteswisschenschaftler auf die Identität zwischen den beiden Denkweisen achten. Aber diese Versuche vernachlässigen im Grunde die wichtigen beiden Seiten bei Heideggers Denken und Zen-buddhistischen Denken, d. h. die Ähnlichkeit und die grundsätzliche Differenz zwischen den beiden Denkwesen. Heideggers Denkweg, der auf dem Weg zur Überwindung der Metaphysik unterwegs ist, zwar im Grunde ähnlich wie dem Weg zur Überwindung bzw. Befreung von dem Eigenschaften(Attachment) zu den Dingen, die man üblich als Realität oder Substanz ansieht. Aber Heidegers Weg oder Methode zur Überwindg ist von der Methode bzw. dem Grund zur Überwindung bei Zen-buddhistischer Tradition grundverschieden. Demendsprechend soll man den Text von Heidegger vorsichtig interpretieren, vor allem im Hinblich auf den Begriff "Nichts", "Metaphysik" und "Gelassenheit". Man soll grundsätlich die ähnlichkeit bzw. die Identität und die Unterschiedenheit zwischen den beiden Denken auf dem Weg zur Überwindung der Metaphysik beachten.

한국어

하이데거와 선불교와의 비교 연구는 그 차이성에 지나치게 주목하거나, 그 유사성에 주목하다가 보면 하이데거와 선불교사이의 정당성에 대한 평가를 그르칠 위험이 있다. 선불교체험에 입각해서 하이데거의 사유를 아직 형이상학적 사유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비판하거나, 성급하게 하이데거와 선불교전통은 만날 수 있고, 같은 내용을 말하고 있다고 보는 것은 잘못된 일반화의 오류에 빠질 수 있다고 본다. 하이데거와 선불교 전통의 비교를 통해 그 정당한 평가가 이루어지려면 서로의 전통이 가지고 있는 문제의식에서 그 사상을 바라보고, 그 맥락에서 정당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하이데거의 문제의식은 서양에서 플라톤에서 니체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근대 과학적 사유에 이르기까지의 형이상학적 사유에 대한 비판적 극복에서 출발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시간성이나 무(無) 개념이 중요한 개념으로 부각된다고 할 수 있다. 대승불교 전통에서의 문제의식도 실체나 공(空)에 집착하려고 하는 입장에 대한 비판적 문제의식에서 이른바 공의 논리가 나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형이상학적 사유 혹은 실체론적 사유를 극복하기 위한 문제의식에서 보면 하이데거와 선불교는 만날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이를 시도하는 과정에서의 방법론 혹은 도구는 근본적으로 서로 다르다고 할 수 있다. 그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를 같다고 하거나 그 차이를 너무 강조하여 다른 쪽의 입장을 지나치게 비판하는 것은 비약이다. 하이데거와 선불교에 대한 비교에서 우리가 먼저 주목해야 할 것은 바로 문제의식에서는 같지만, 그 극복 방식에 있어서는 관점을 달리하는 이질 동형(異質同型)적 구조일 것이다.

목차

【요약문】
 서론
 1. 준형이상학적 사유와 초형이상학적 사유
 2. 존재와 무와 관련한 형이상학의 문제
 3. 존재와 연기실상
 4. 형이상학(실체론)에 대한 비판과 시간성
 5. 결론: 하이데거의 무(無)에 대한 이해
 참고문헌
 Zusammenfassung

저자정보

  • 서동은 Dong-Uhn, Suh. 경희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