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의 삶의 질과 일상활동참여도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f the Quality of Life and Participation in Everyday Activities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조성미, 오덕원, 김선엽, 최종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quality of life (QOL) and participation in everyday activitie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differ according to the children’s individual characteristics. Methods : Sixty-nine subjects 8-15 years in ag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ir QOL and participation in everyday activities were assess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KIDSCREEN 52-HRQOL and a frequency of participation questionnai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clude their gender, age, classification of CP, paralytic type, intellectual quotient (IQ), gross motor functional classification system (GMFCS), bimanual fine-motor function (BFMF), and level of pain. Results : The QOL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ose with a good functional level of GMFCS, high IQ, and the absence of pain (p<.05). The scores for everyday activity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ose with a good functional level of GMFCS, a high BFMF, high IQ, and the absence of pain (p<.05). Finally,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had better scores than those with other types of diplegia (p<.05). Conclusion :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QOL and participation in daily activitie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an be influenced by a variety of individual factors. Such findings may be used as specific considerations in planning efficient therapeutic strategies and in executing an actual treatment plan. Further studies will be continued in this field.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삶의 질과 일상활동참여도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 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학령기(8􀅭15세) 뇌성마비 아동 6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아동들의 일반적인 특성에는 성 별, 나이, 마비유형, 뇌성마비 형태, 지능지수, 대동작기능, 양손소동작기능, 통증상태 등의 변수들이 포함되었다. 아동들의 삶의 질과 일상활동참여도에 대한 평가는 한국어판 KIDSCREEN 52-HRQOL과 참여빈도 설문지를 사 용하여 아동들의 부모에 의해 시행되었다. 결과 : 삶의 질은 통증이 없는 경우, 지능지수가 높은 경우, 대동작기능이 좋게 나타난 경우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p<.05). 일상활동참여도는 대동작기능이 좋게 나타난 경우, 양손소동작기능이 좋은 경우, 통증이 없 는 경우, 지능지수가 높은 경우, 마비유형에서 양하지마비인 경우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 이러한 결과는 학령기 뇌성마비 아동들의 삶의 질과 일상활동참여도가 각 개인의 신체적인 특성에 의해 영향 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뇌성마비 아동들의 독립성과 활동성을 증진시키고 보다 현실적인 치료방법 들을 계획하기 위해서, 이러한 측면들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향후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계속적으로 이루 어져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절차
  2. 측정 도구
  3.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성미 Cho, Seong-Mi. 성심병원 물리치료실
  • 오덕원 Oh, Duck-Won.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김선엽 Kim, Suhn-Yeop.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최종덕 Choi, Jong-Duk.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