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is study was used to identify the working conditions and job satisfaction of therapy support service professionals based at schools and support centers for special education. The study was also conducted to provide substantial materials for the welfare improvement of service professionals and the best possible servic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Methods : This study analyzed 60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therapy support service professionals working in schools and support centers for special education.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y telephone, mail, and e-mail from January 4th to 20th, 2010. Results : The highest percentage of satisfaction was found in contracted occupational therapists earning 1.5 to 2 million won a month, working 40 hours a week at 1 itinerant place with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were ambivalent about their equipped devices, are a special teacher or related service member, and are responsible for less than 5 elementary student aged children. The total job satisfaction was higher in those working in schools, while the reward satisfaction was higher in permanent workers treating fewer children per day and at a higher salary. The task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 condition of the equipped devices. Recognition and autonomy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 number of children attended to per day. There was positive relation between task satisfaction and reward and autonomy satisfaction, and also betwee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satisfaction. Conclusion : It is necessary to create a policy and plan for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and job satisfaction of therapy support service professionals working in schools and support centers for special education. Various seminars and school-based occupational-therapy-related research for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ists’roles and professionalism are also needed.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를 전공하고 특수교육지원센터와 학교에 기반을 둔 치료지원 서비스 전문가의 근무환경 과 근무 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으며, 향후 교육기반 작업치료사의 복지향상과 최적의 치료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0년 1월 4일부터 2010년 1월 20일까지 전국에 있는 특수교육지원센터와 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작 업치료 전공자를 대상으로 전화, 우편,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발송하고, 회수한 총 6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 : 고용형태는 계약직 전일제, 직책은 작업치료사, 급여는 150~200만원 미만, 순회 근무지 수는 1곳, 대상 아동 의 장애유형은 지적장애, 치료 기구 및 장비의 구비 상태는‘그저 그렇다’로, 관련서비스 팀원으로 특수교사로 대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학교에 근무할 때 전체만족도가 높았고, 정규직이고, 급여가 많을수록, 1일 치료 아동 수가 적을수록 보상체계 만족도는 높았으며 근무처와 직책에 따라 자율성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료기 구 및 장비 구비 여부에 따라 업무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1일 치료 아동 수에 따라 인정지위와 자율성, 만족도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만족도 요인 중 업무체계와 보상체계, 업무체계와 자율성, 인간관계 와 인정지위에서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특수교육지원센터 및 학교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비롯한 치료지원 전문가들의 근무환경 개선과 직무 만족도 향상을 위한 정책과 방안이 필요하며 학교기반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세미나 및 보 수교육, 학교 기반 작업치료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정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연구 대상자의 근무환경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4. 근무 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
5. 직무만족도 요인별 상관관계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