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회사회사업실천에 있어서 원예치료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applicable possibility of Horticulture Therapy Program in church social work practice

김인, 이남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the Effects of Horticulture Therapy Program on self-esteem and emotional stability for the choronic disease Elderly. An objct of study consists of 10 empirical group and 10 control group in the Jeon-Buk geriatics hospital.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structured questionnaire. During 2007 December 20th to 2008 August 30th, Horticulture Therapy Program carried out 30 session.
Frequency and Chi-Square tests were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the group to another, and t-tests, anovas and regressions were used to confirm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empirical group.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Horticulture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meanns to increase self-esteem for the choronic disease Elderly. Second, Horticulture Therapy Program is also very affirmative means onemotional stability for the choronic disease Elderly. By accounting for the results of the study, I suggest that social
worker make good use of Horticulture Therapy Program in social welfare field to solve problem of the aged.

한국어

본 연구는 교회사회사업실천현장에서 원예치료프로그램의 가능성을 검증한 연구이다. 특별히 원예지료프로그램이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적 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교회사회사업현장에 적용하는 가능성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노인전문병원의 재가복지노인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10명씩 구성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2008년 12월 20일부터 2009년 8월까지 총 30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원예치료프로그램이 만성질환을 가진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에 대한 만족을 느끼고 가족에 대한 고마움과 함께 기쁨으로 나도 할 수 있다는 자신감등에서 자아의 긍정적 효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둘째, 원예치료프로그램이 정서적 안정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원예치료가 정서적 안정과 심리적 이완을 충족시킴으로서 우울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원예치료프로그램이 노인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교회사회사업실천현장에서 다양한 접근방법 중의 하나로 활용되는 것을 제안한다.

목차

초록
 I. 서론
 II. 선행연구 고찰
 III. 원예치료
  1. 원예치료의 개념
  2. 원예활동의 장점
  3. 원예치료 활동으로 본 인간발달을 위한 에릭슨의 심리사회성격이론
 IV.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V. 연구결과 분석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일상생활에 대한 성역할
  3. 정서적 우울사항
  4. 자아존중감
 V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인 Kim, In. 한일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부 부교수
  • 이남숙 Lee, Nam Suk. 한일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부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