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교변화 수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원문정보

Teachers' Perception on School Change Program

양성관, 이승덕, 전상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ew Changes in educational paradigm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call on schools to make a change as well to nurture creative and competent people. Actually, there have been lots of efforts to change schools, but it's just been a passing phenomenon in many c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eachers perceived changes in school while they witnessed the rearrangement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changes in work handling and teaching methods in a bid to seek ways of having their efforts bear fruit, since they underwent a lot of tough chang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should be both top-down
and bottom-up changes in school. Any attempt to give a change to school would strike a snag if teachers aren't persuaded to reach a consensus. Second, teachers should accurately be informed about what for and in which way schools have to change in order to prevent any possible anxiety or conflict. They should be given a fuller explanation if a more far-reaching and tough change is required. Third, schools could make a more successful change when there is a better personal tie-up among school members. If promotion is taken advantage of as a means to
change a school, it will trigger conflicts among teachers and draw a backlash from them, which results, in turn, in deterring it from changing. Fourth, a successful change requires enough time and good strategies. Heavy workload takes teachers away from meditating and thinking, as they say that less is more. In conclusion, making a change in school is a journey that every member takes together, and that will be crowned with greater success when every teacher joins force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변화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학교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혹은 학교변화를 가로막는 변화 실행방안의 특성들을 확인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변화의 상대적 이익, 변화의 적합성, 변화의 복잡성 등 세 가지 변화의 인지된 특성이라는 관점에서 연구 참여자에 대한 면담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변화의 상대적 이익에 대하여 교사들은 교과교실의 도입으로 7차 교육과정에 맞는 수준별 수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졌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일부 과목에서 시설부족으로 인하여 수업 내용의 질적 향상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였다. 둘째, 변화의 적합성에 대해서 교사들은, 연구학교가 목표로 추진한 변화의 실행방안들 이 교육수요자들의 요구인 수준별 수업과 창의력 신장에 도움이 되어서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가치나 요구에도 매우 적합했던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변화의 실행방안과 관련된 업무량이 너무 많아서, 이에 따른 시간 부족으로 수업개선이나 교재개발에 소홀하게 되어 교사들의 필요와 요구에 부적합했던 점을 지적했다. 셋째, 변화의 복잡성에 대하여 연구학교의 운영에 참가한 교사들은 일을 하면서 서로 느꼈던 심리적 갈등을 가장 힘겨워 했다. 그리고 학교 변화의 실행 프로그램에 대해서 잘 이해하지 못 하였으며, co-teaching이나 Team-teaching 등의 수업 방식에 대해서도 이해가 안 되어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 힘들었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사들에게 학교변화의 목적과 수단에 대한 분명한 인식을 심어주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명확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변화의 복잡성을 줄이는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학교변화에 관한 이론
  2. 학교변화에 관한 선행 연구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1. 학교 변화에 대한 교사 인식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양성관 Yang, Sung-kwan. 건국대학교 교수
  • 이승덕 Lee, Seung-duk. 광무여자중학교 교사
  • 전상훈 Jeon, Sang-hoon. 고려대학교 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