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보문화교육의 교과 수업 가능성 탐색 : 중등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n Exploratory Study on Possibility of Class Instruction in Education for Digital Culture : Focusing on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김상연, 유상미, 김미량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eachers’ perception concerning the education for digital culture included in various subject-matters instructions in secondary classrooms.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eachers' satisfaction, effectiveness of digital culture class, perceived level of easiness, class contents, perceived level of cyber culture, and support from government and schools. Based on responses from 355 teachers who have experiences of teaching digital culture and related topics, we empirically test a set of research hypotheses.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effectiveness of digital culture class and the perceived level of easiness have a salient effect on satisfaction. Class contents as well as support from government and schools also influences the perceived level of easiness. But perceived level of cyber culture was found not to be significant to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culture class. In addition, respondents perceive that systematic class contents for digital culture need to be developed based upon the long-term plan, and that inter-relatedness among various subject matters or fields needs to be established. As a conclusion,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to achieve the fundamental goal of effectively teaching digital culture in various subject classes, teachers' positive perception of digital culture needs to be established.

한국어

본 연구는 교실 수업에서 정보문화교육이 실제로 다양한 교과의 수업에서 실시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무엇보다도 가장 핵심이 되는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정보문화교육을 실시해 본 경험이 있는 355명의 교사 응답을 토대로 교사의 정보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그 관련 요인을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정보문화교육의 효과성에는 콘텐츠 질이 영향을 주었으며, 정보문화교육의 용이성에는 콘텐츠 질, 정부의 지원, 학교의 지원이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문화교육이 효과적이고, 어렵지 않으며 쉽게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는 용이성은 정보문화교육의 만족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교실수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교사의 수업 만족도가 높아지면 정보문화교육의 실천 가능성이 높아지고 정보문화교육의 질과 내용면에서 내실 있는 수업을 진행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더불어 범 교과에서 통합적으로 정보문화교육이 실시되기 위해서는 그 핵심적 역할을 하는 교사들이 정보문화교육의 필요성과 시급성에 대한 인식을 이해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돕고, 보다 장기적인 계획에 따라 체계적이고 다각적인 정부 차원의 지원과 다양한 교과 교육 간의 연계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요약
 I.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이론적 배경
 II. 연구방법
  1. 설문 문항의 구성
  2. 연구가설의 설정
  3. 데이터 수집 및 분석 방법
 III. 연구 결과
  1. 설문 응답자의 인구학적 통계 분석
  2. 정보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수요
  3. 연구 가설의 검증
 I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상연 Kim, Sang-Yon. 백사초등학교 교사
  • 유상미 Yoo, Sang-Mi. 한성대학교 멀티미디어공학과 초빙교수
  • 김미량 Kim, Mi-Ryang. 성균관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